상부 위장관 내시경 후 발생한 경부 국소농양 1예
상부 위장관 내시경은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지만 무리한 조작에 의해 상부 위장관의 천공이 드물게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대부분 하인두 및 경부식도에서 발생한다. 천공이 발생한 즉시 적절한 치료가 시행되면 인접한 경부공간으로 염증이 파급되지 않고 치유될 수 있지만, 치료의 시작이 늦어질 경우 대부분 경부공간을 타고 하방으로 파급되어 종격동염, 심내막염, 췌장염, 패혈증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진행된다. 저자들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 시행 직후부터 좌측 경부 통증을 호소한 31세 남자 환자에서, 경부식도 천공에 의한 경부 농양을 조...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Clinical endoscopy 2008, 37(3), , pp.203-206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상부 위장관 내시경은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지만 무리한 조작에 의해 상부 위장관의 천공이 드물게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대부분 하인두 및 경부식도에서 발생한다. 천공이 발생한 즉시 적절한 치료가 시행되면 인접한 경부공간으로 염증이 파급되지 않고 치유될 수 있지만, 치료의 시작이 늦어질 경우 대부분 경부공간을 타고 하방으로 파급되어 종격동염, 심내막염, 췌장염, 패혈증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진행된다. 저자들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 시행 직후부터 좌측 경부 통증을 호소한 31세 남자 환자에서, 경부식도 천공에 의한 경부 농양을 조기에 확인하여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받은 환자가 수일 이상의 지속적인 인후통을 호소하는 경우, 인후두부에 특이소견이 없다고 해서 단순한 일과성 통증으로 간주할 것이 아니라 경부측방촬영을 즉시 시행하여 이상소견의 유무를 확인하거나, 이비인후과와의 긴밀한 협진을 통해 식도손상에 의한 심각한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34-2400 2234-2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