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이용한 만성 췌장염에 의한 췌관 협착의 확장술

목적: 심한 섬유화 등으로 주췌관 폐쇄 부위의 협착 정도가 심한 만성 췌장염 환자는 배액관 삽입 전 협착 부위의 확장술이 필요하다. 췌담관 확장술에는 풍선 및 tapered plastic dilator 등이 사용되는데, 폐쇄 정도가 심하여 확장용 기구가 통과할 수 없다면 이런 시술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풍선이나 플라스틱 확장기를 이용한 확장술이 불가능하였던 만성 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선단 부위가 tapered screw 모양인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이용한 확장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Clinical endoscopy 2006, 32(1), , pp.27-32
Hauptverfasser: 황성준, 지명관, 김재우, 김현수, 이근만, 김영균, 송대훈, 백용한, 이세준, 이동기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심한 섬유화 등으로 주췌관 폐쇄 부위의 협착 정도가 심한 만성 췌장염 환자는 배액관 삽입 전 협착 부위의 확장술이 필요하다. 췌담관 확장술에는 풍선 및 tapered plastic dilator 등이 사용되는데, 폐쇄 정도가 심하여 확장용 기구가 통과할 수 없다면 이런 시술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풍선이나 플라스틱 확장기를 이용한 확장술이 불가능하였던 만성 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선단 부위가 tapered screw 모양인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이용한 확장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5년간 ERCP상에서 췌관 및 담관의 고도 협착 때문에 풍선 및 플라스틱 확장기가 폐쇄 부위를 통과하지 못하였던 14예의 만성 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주췌관 폐쇄 부위는 7예가 두부, 3예가 경부, 체부 2예 및 미부 1예였고, 1예는 두부와 체부의 동시 폐쇄가 관찰되었다. 11예에서는 폐쇄가 2 cm 미만이었으며, 3예에서는 2 cm 이상이었고 4예에서 주췌관 폐쇄와 함께 췌관 결석이 동반되었다. 또한 1예의 환자는 교통 사고 후 3년 만에 주췌관의 협착에 의한 가성 낭종이 동반된 경우였다. ERCP를 시행하여 8예는 7 Fr., 6예는 7 Fr. 이후 10 Fr.의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이용하여 1회(10예) 혹은 2회(4예)에 걸쳐 폐쇄부 확장을 시도하였고, 전예에서 첫 시도에서 배액관 제거기의 협착 부위 통과가 가능하였다. 또한, 췌관 결석이 동반된 4예는 모두 췌관 확장 후 췌석의 제거가 가능하였으며, 이 중 2예는 배액관 제거기의 drilling effect로 주췌관에 감돈된 췌석의 분쇄가 가능하였다. 가성 낭종이 동반되었던 외상 후 만성 췌장염 환자는 낭종 입구 주췌관 협착 확장 및 배액관 삽입술 후 낭종의 소실과 가성 낭종의 원인인 주췌관 협착의 해소가 확인되어 배액관 제거가 가능하였다. 또한, 14예 전예에서 6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 중 증상의 재발을 보인 환자는 없었고, 확장술에 따른 심한 출혈이나 췌장염 등의 합병증은 1예도 없었다. 결론: 만성 췌장염에 동반된 고도의 췌관 협착의 경우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이용하여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협착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Endoscopic pancreatic ductal drainage may help alleviate the pain from chronic pancreatitis, but stricture dilatation may be technically difficult. Dilatation of high grade strictures of the pancreatic ducts with using dilating or balloon catheters may result in failure.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using the Soehendra stent retriever as a dilator. Methods: Fourteen patients with pancreatic stricture had dilation performed with a Soehendra stent retriever. Each patient had sphincterotomy, guidewire placement and stent retriever dilatation. Results: All procedures were successful and none of the patients had complications. Symptom relief was observed after dilation in all patients. There was no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stent retriever. None of the patients have relapsed for 6 months. Conclusions: The Soehendra stent retriever is safe and effective as a dilating device for the pancreatic strictures that are resistant to conventional dila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2:27-32) KCI Citation Count: 0
ISSN:2234-2400
2234-2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