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의 스텐트 삽입에 있어 Soehendra Stent Retriever의 유용성

목적: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의 고식적 치료로 내시경적 담도 배액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도의 담도 협착의 경우는 확장도관이나 풍선도관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담도 확장이 어려워 스텐트 삽입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일반적인 내시경적 방법으로 스텐트 삽입이 불가능 했던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 환자에서 Soehendra Stent Retriever를 사용하여 담도 확장 및 스텐트 삽입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67명의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 환자 중 확장...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Clinical endoscopy 2009, 39(5), , pp.271-275
Hauptverfasser: 김표준, 강대환, 김형욱, 최철웅, 윤기태, 김용욱, 조몽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의 고식적 치료로 내시경적 담도 배액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도의 담도 협착의 경우는 확장도관이나 풍선도관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담도 확장이 어려워 스텐트 삽입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일반적인 내시경적 방법으로 스텐트 삽입이 불가능 했던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 환자에서 Soehendra Stent Retriever를 사용하여 담도 확장 및 스텐트 삽입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67명의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 환자 중 확장도관이나 풍선도관으로 담도 확장이 어려운 12명(간문부 담도암=10명, 담낭암=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여=7:5, 평균 연령=69.1세). 양측 담도 배액을 위하여 “stent in stent”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ERCP 카테터나 스텐트가 유도 철선을 따라 협착부를 통과하지 못한 12명의 환자에서 Soehendra Stent Retriever를 사용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진시켜 원하는 간내 담도 협착 부위를 확장시킨 다음 금속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결과: Soehendra Stent Retriever를 사용한 12명의 환자 중 10명에서 스텐트 삽입(기술적 성공률, 83.3%)에 성공하였고, 이들 모두에서 황달의 호전을 보였다. 시술 후 발열과 췌장염이 있었지만 보존 치료로 호전되었으며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고도의 악성 간문부 담도 협착 환자에서 양측성 스텐트 삽입시 Soehendra Stent Retriever를 사용하여 협착 부위를 확장할 경우 스텐트 삽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Background/Aims: Endoscopic biliary drainage is widely used for the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For the advanced stricture, the general treatments such as a dilating or balloon catheter can not fully expand a duct. The authors used a Soehendra Stent Retriever for these cases, and we evaluated the value of using this instrument for treating these patients. Methods: From July 2006 to Jun 2008, we studied 12 patients with mailignant biliary obstruction (Klatskin’s tumor=10, Gall bladder cancer=2) and who were failed at having a stent inserted with such general treatment such as using a dilating or balloon catheter (M:F=7:5, age=69.1 years old). For the bilateral biliary drainage of the duct, the “stent in stent” method was used and 12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Soehendra Stent Retriever with clockwise rotation, as well as going forward to expand the target area of the intrahepatic bile duct obstruction and insert a metal stent. Results: Ten patients among the 12 who were treated by a Soehendra Stent Retriever achieved successful insertion of a stent (technical success, 83.3%), and all 12 patients showed improvement of their jaundice. Conclusions: To insert bilateral stents for the advanced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expanding the strictured area with a Soehendra Stent Retriever can improve the success of inserting a stent. KCI Citation Count: 0
ISSN:2234-2400
2234-2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