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모수혼합모형을 이용한 축소소지역추정
Small area estimation is a statistical inference method to overcome large variance due to a small sample size allocated in a small area. A shrinkage estimator obtained by minimizing relative error(RE) instead of MSE has been suggested. The estimator takes advantage of good interpretation when the da...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Ŭngyong tʻonggye yŏnʼgu 2014, 27(4), , pp.605-617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Small area estimation is a statistical inference method to overcome large variance due to a small sample size allocated in a small area. A shrinkage estimator obtained by minimizing relative error(RE) instead of MSE has been suggested. The estimator takes advantage of good interpretation when the data range is large. A semiparametric estimator is also studied for small area estim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a semiparametric shrinkage small area estimator and compare small area estimators using labor statistics. 소지역추정은 작은 규모의 지역 또는 도메인에 작은 크기의 표본이 배정되어 추정의 정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 이를 극복하는 통계적 기법이다. 소지역추정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모형기반 추정량은 MSE를 기초로 얻어지나 최근 상대오차를 이용한 소지역추정법도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대오차를 최소로 하는 소지역 추정량의 준모수적 접근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즉 준모수혼합모형을 이용한 축소소지역추정량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또한 Lee(1995)에서 제안된 모의실험 자료를 이용한 모의실험과 매월노동통계 자료를 이용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추정량과 제안된 추정량의 우수성을 비교하였다. |
---|---|
ISSN: | 1225-066X 2383-5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