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에 따른 미소형태분석과 치과지식 정도에 의한 심미성 평가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to provide the criteria of the esthetic smile in oromaxillary region on twenties, fifties and sixties. Materials and methods: The facial straight photographs of 33 adults (male 15, female 18, mean age 27.2 years old) and 20 seniors (male 7, female 13, mean ag...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2012, 50(4), , pp.249-257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to provide the criteria of the esthetic smile in oromaxillary region on twenties, fifties and sixties. Materials and methods: The facial straight photographs of 33 adults (male 15, female 18, mean age 27.2 years old) and 20 seniors (male 7, female 13, mean age 55.6 years old) in resting and smile position were taken. The measurements and proportion of lip-teeth relation during smil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survey of freshmen and seniors who belong to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ere taken to select the best esthetic smile among the photographs. 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lip and the teeth, average smile was the most frequent, and mean of smile line ratio was 1.090 in young group and 0.90 in old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ccal corridor ratio and exposed teeth count was inversed. At smile, most frequently exposed tooth was the second premolar (63.64%) in young gourp and the first premolar (35.00%) in old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pper lip change ratio and exposed clinical crown length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invers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lower lip change ratio and exposed clinical crown length of maxillarycentral incisor. Conclusion: In the result of survey, the students selected the case exposed to the first premolar as the most esthetic smile. The most esthetic smile between full facial photograph and the lip only photograph by the freshmen was different, but that by seniors was identical.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광주지역 주민의 나이에 따른 미소형태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심미적인 미소형태를 분석하여 전치부의 보철 수복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대(평균연령 27.2세)와 50, 60대(평균연령 55.6세)의 정상 교합자를 각각 33명(남자 15명, 여자 18명), 20명 (남자 7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안정위 시와 미소 시 얼굴정면 사진을 촬영하여 미소 시 입술 형태, 입술의 변화와 치아와의 관계를 계측, 분석하였다. 그 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1학년(67명), 4학년(47명)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미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미소 시 상순과 치아와의 관계는 두 그룹 모두 average smile이 가장 많았으며, smile line ratio는 청년층에서 1.09, 장년층에서 0.90으로 나타나 거의 평행한 관계를 보였다. 미소 시 buccal corridor ratio가 커질수록 노출되는 치아 수는 적어지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미소 시 노출되는 치아는 청년층에서 제2소구치까지 보이는 경우가 63.64%로 제일 많았고, 장년층에서는 제1소구치까지 보이는 경우가 35%로 가장 많았다. 미소 시 상순 하연의 수직적 길이 변화와 상악 중절치 노출 임상치관 길이 사이에는 서로 역상관관계가 보였으며, 하순 상연의 길이 변화와 상악 중절치 노출 임상치관 길이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심미성에 관하여는 High smile line과, 미소 시 상악 제1소구치까지 보이는 경우가 제일 심미성이 높았으며,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1학년의 경우, 얼굴전체 사진과 입술만 나타난 사진에서 뽑은 아름다운 미소 사진이 달랐으며, 4학년의 경우에는 일치하였다. |
---|---|
ISSN: | 0301-2875 2005-3789 |
DOI: | 10.4047/jkap.2012.50.4.2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