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레크리에이션이 정신요양시설에 있는 만성정신질환자의 무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요양시설에 있는 만성정신질환자의 무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본 연구에서 치료레크리에이션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무력감에서는 치료레크리에이션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무력감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이 무력감에 효과가 있는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무력감을 삶의 통제력을 잃고 스스로 무력하게 느끼는 것으로 정의한 측면에 따라 노인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동서간호학연구지 2013, 19(2), , pp.71-77
Hauptverfasser: 이춘이, Chun Yee Lee, 변은경, Eun Kyung Byun, 양미경, Mig Yeong Yang, 장경오, Koung Oh Chang, 김남희, Nam Hee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요양시설에 있는 만성정신질환자의 무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본 연구에서 치료레크리에이션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무력감에서는 치료레크리에이션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무력감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이 무력감에 효과가 있는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무력감을 삶의 통제력을 잃고 스스로 무력하게 느끼는 것으로 정의한 측면에 따라 노인의 무력감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노인의 무력감이 낮추는데 효과가 나타난 결과(Kim & Kim, 2012)와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음악, 연극, 운동, 게임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하게 되어 서로를 인식하게 됨으로써 소속감과 자신감을 주고, 무력감을 낮추어 우울을 감소시키며 생활의 만족도를 높인다는 결과(Woo, 2004)와는 차이를 나타냈다.무력감은 통제의 결여가 만성적으로 반복되고 지속되는 경우에는 어떤 사건이 자기의 행위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학습하게 되어 발생하므로(Kim, Nam, Lee, Cheon, & Chung, 199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on the powerless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ability. Method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re were 24 people in experimental group and 21 people in control group.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in a total of 8 sessions, 60 minutes for each ses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X2-test, and independent t-test with SPSS/WIN 18.0. Results: Life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t=2.48, p=.017).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owerlessness of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1.51, p=.138). Conclusion: Further studies were needed to be done to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recreation therapy on the powerless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ability. In addition,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to improve helplessness and life satisfaction are in need.
ISSN:1226-4938
2671-8448
DOI:10.14370/jewnr.2013.19.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