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균제 사용량과 기상학적 발병 위험도가 고추 탄저병균의 Fluazinam 저항성 발생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혼합효과모델링 연구

탄저병은 Colletotrichum 속에 의해 발생하며 , 경제적으로 중요한 과일이나 채소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병해이다 . 탄저병을 관리하기 위하여 화학 살균제가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으나 , 이는 살균제 저항성 균주 발생이라 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 살균제 저항성 균주의 발생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 아직까지 살균제 사용량과 병 발생 위험이 저항성 균주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된 바 없다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통계적 혼합효과모델을 활용하여 , 살균제 사용량과 고추 탄저병 발생...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농약과학회지 2024, 28(4), , pp.418-425
Hauptverfasser: 이노현(Noh-Hyun Lee), 강현덕(Hyeon-Deok Kang), 안소현(Sohyeon An), 김흥태(Heung Tae Kim), 김광형(Kwang-Hyung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탄저병은 Colletotrichum 속에 의해 발생하며 , 경제적으로 중요한 과일이나 채소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병해이다 . 탄저병을 관리하기 위하여 화학 살균제가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으나 , 이는 살균제 저항성 균주 발생이라 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 살균제 저항성 균주의 발생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 아직까지 살균제 사용량과 병 발생 위험이 저항성 균주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된 바 없다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통계적 혼합효과모델을 활용하여 , 살균제 사용량과 고추 탄저병 발생 위험도가 균사 생장 억제율에 미치는 영 향을 평가하였다 . 혼합효과모델을 통한 분석 결과 , 저농도 (0.1 ppm) 플루아지남에서의 균사 생장 억제율은 고추 탄 저병 발생 위험도나 사용된 플루아지남 유효성분량에 의해 독립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 . 그러나 고추 탄저병 발 생 위험도와 사용된 플루아지남 유효성분량 간 상호작용은 균사 생장 억제율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저항성 균주 발생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p., is a devastating disease that occurs in and damages many economically important fruits and vegetables. To control anthracnose, several chemical fungicides have been used for an extended period, but this led to a new problem which is development of fungicide-resistant strains. Although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past to elucidate the mechanisms of emergence of the fungicide-resistant strains, no study has been reported to-date on the influence of fungicide usage amounts and risk of disease on the occurrence of resistant strains. In the present study, the impact of fungicide (fluazinam) amount used and risk of pepper anthracnose on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ratio were evaluated using a data-driven statistical mixed-effects model. Results revealed that at a low concentration (0.1 ppm) of fluazinam,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ratio was not independently affected by the risk of pepper anthracnose or fluazinam usage amount.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isk of pepper anthracnose and fluazinam usage amou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inhibition ratio. This study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emergence of resistant strain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6183
2287-2051
DOI:10.7585/kjps.2024.28.4.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