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차 의료기관에서의 신생아 조기 발병 B군 사슬알균 감염증 역학: 2001-2022년, 22년간의 종단 연구

배경: B군 사슬알균(group B Streptococcus, GBS) 관련 조기 발병질환(early-onset disease, EOD)은 전 세계적으로 패혈증, 수막염등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역학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원주의 3차 의료기관에서GBS 관련 EOD의 역학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입원한 신생아 중 GBS 배양 양성 판정을 받은 111명의 모든 신생아의 검사 결과와 GBS EOD를 진단받은 생후 7일 미만의 신생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Laboratory Medicine Online, 15(1) 2025, 15(1), , pp.78-83
Hauptverfasser: Lee Hyeongyu, Ahn Kwangjin, Kang Jieun, Choi Seong Jin, Yoo Yeong Myong, Uh Yo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배경: B군 사슬알균(group B Streptococcus, GBS) 관련 조기 발병질환(early-onset disease, EOD)은 전 세계적으로 패혈증, 수막염등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역학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원주의 3차 의료기관에서GBS 관련 EOD의 역학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입원한 신생아 중 GBS 배양 양성 판정을 받은 111명의 모든 신생아의 검사 결과와 GBS EOD를 진단받은 생후 7일 미만의 신생아12명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기관에서 신생아 1,000명당 GBS EOD의 평균 발생률은0.38명이었다. 총 12건의 신생아 GBS EOD에서 5명은 미숙아로, 그중 3명이 사망하였다. 사망한 신생아와 생존한 신생아는 임신 주수(P =0.018), 태아성숙도(P =0.045), 출생 체중(P =0.018), 인공호흡기 치료(P =0.018) 그리고 삽관튜브 내 GBS 균의 검출의 여부(P =0.045)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GBS 균주는 페니실린(penicillin),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반코마이신(vancomycin)에 감수성을 보였다. 임신 주수에 따른 출생 체중이 백분위수에서 10번째보다 아래이거나 삽관튜브에서 GBS가 검출된 미숙아는 사망하였다. 결론: 미숙아에서 저체중과 호흡계통의 불완전성(respiratory system imperfection)은 GBS EOD 사망률과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 Background: Although group B Streptococcus (GBS) early-onset disease (EOD) can cause serious infections such as sepsis and meningitis worldwide, its epidemiology has not been studied in South Korea. This retrospectiv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of GBS-related EOD in a tertiary care hospital in Wonju, South Korea. Methods: Laboratory data of all 111 neonates hospitalized at Wonju Severance Christian Hospital between January 2001 and December 2022 with positive GBS cultures were extracted and reviewed. In this study,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 were reviewed for 12 babies aged
ISSN:2093-6338
DOI:10.47429/lmo.2025.15.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