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셀프리더십, 관리자의 진성리더십, 간호조직문화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적용

연구목적: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셀프리더십, 관리자의 진성리더십, 조직문화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혼합연구방법의 설명적 순차 혼합방법 설계를 적용하였다. 양적 연구는 7개 병원으로부터 13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질적 연구는 조직침묵 점수가 높은 1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양적 자료는 SPSS/WIN 26.0을 사용하였고, 질적 자료는 NVivo 12.0 프로그램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여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24, 30(4), , pp.404-415
Hauptverfasser: 이현주(Lee, Hyun-Ju), 강소영(Kang, So-Yo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연구목적: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셀프리더십, 관리자의 진성리더십, 조직문화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혼합연구방법의 설명적 순차 혼합방법 설계를 적용하였다. 양적 연구는 7개 병원으로부터 13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질적 연구는 조직침묵 점수가 높은 1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양적 자료는 SPSS/WIN 26.0을 사용하였고, 질적 자료는 NVivo 12.0 프로그램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여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양적 연구결과, 셀프리더십 하위영역인 자기기대와 관계지향 조직문화가 체념적 침묵에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14.0%였다. 셀프리더십의 리허설과 건설적 사고, 관리자의 관계적 투명성이 친사회적 침묵에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15.0%였다. 질적 연구에서 조직침묵과 관련된 주요 주제는 ‘ 작은 내 모습에 목소리를 낼 수 없음’, ‘고년차로 말할 수 없는 것들’. ‘진실한 관리자’, ‘경청하는 관리자’, ‘수동적인 관리자’, ‘끈끈한 동료애를 느낌’, ‘성과중심의 선택적 침묵’, ‘일방향의 지시에 따라야 함’ 8개로 도출되었다. 결론: 병원간호사의 조직침묵을 감소시기키 위해서는 간호사와 관리자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정기적 프로그램 적용과 함께 바람직한 조직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병원조직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and nurses’ organizational culture relationships on hospital nurses‘organizational silence. Methods: An explanatory sequential mixed-method study was conducted. For the quantitative portion, 138 nurses from seven hospitals participated. For the qualitative portion, ten nurses with high organizational silence scores were interview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6.0.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using NVivo 12.0. Results: Quantitative results indicated that self-expectations and a relation-oriented culture explained 14.0% of the variance in acquiescent silence. The combined effect of rehearsal, constructive thought, and relational transparency associated with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on prosocial silence was 15.0%. Qualitative results revealed eight primary themes related to organizational silence: 1) being unable to voice my opinion because I feel insignificant, 2) things that middle managers cannot say, 3) earnest managers, 4) receptive managers, 5) indifferent managers, 6) feeling of camaraderie, 7) selective silence based on performance, and 8) mandatory following of directives. Conclusion: Programs to improve managers’ leadership skills and reduce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silence should be implemented consistently. Hospitals should strive to foster a positive and equitable organizational culture.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330
2288-4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