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건성안증후군에 대한 레바미피드 효과
목적: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건성안에서 레바미피드 2% 점안액의 임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 1주일째 건성안증후군을 선별하여 무작위로 레바미피드군과 대조군을 선정하여 레바미피드군에 레바미피드 점안액 2%를 투여하였으며, 레바미피드 점안액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두 군에서 쉬르머검사, 눈물막파괴시간, 각결막염색, 눈물막삼투압, 눈물지질층두께, 안구표면질환지수 등의 안구건조증검사를 수술 1주일째, 1개월째, 2개월째에 시행하였다. 결과: 레바미피드군에서 눈물막파괴시간과 각막염색점수, 안구표면질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24, 65(9), , pp.589-595 |
---|---|
Hauptverfasser: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건성안에서 레바미피드 2% 점안액의 임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 1주일째 건성안증후군을 선별하여 무작위로 레바미피드군과 대조군을 선정하여 레바미피드군에 레바미피드 점안액 2%를 투여하였으며, 레바미피드 점안액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두 군에서 쉬르머검사, 눈물막파괴시간, 각결막염색, 눈물막삼투압, 눈물지질층두께, 안구표면질환지수 등의 안구건조증검사를 수술 1주일째, 1개월째, 2개월째에 시행하였다.
결과: 레바미피드군에서 눈물막파괴시간과 각막염색점수, 안구표면질환지수는 수술 후 1주일째에 비해 2개월째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002, 0.014, 0.013). 레바미피드군에서 쉬르머검사와 눈물막삼투압검사, 눈물지질층두께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1개월째: p=0.769, 0.394, 0.023; 2개월째: p=0.084, 0.917, 0.478). 수술 1개월째와 2개월째에, 레바미피드군이 대조군에 비해 눈물막파괴시간이 유의하게 길었으며(1개월째: p=0.007; 2개월째: p=0.000), 각막염색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1개월째: p=0.000; 2개월째: p=0.000).
결론: 백내장수술 후 레바미피드 점안 시 눈물막파괴시간과 각막염색점수, 안구표면질환지수의 호전을 확인하였다. 백내장수술 후 발생하는 건성안증후군에서 레바미피드의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potential advantages of using topical rebamipide 2% to manage dry eye following cataract surgery.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phacoemulsification and intraocular lens insertion) were evaluated for dry eye 1 week postoperatively. Randomly select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rebamipide group, who received 2% rebamipide eye drops, and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rebamipide. Various dry eye-related tests, including Schirmer’s test, the tear break-up time (TBUT), ocular surface staining, tear film osmolarity, tear lipid layer thickness, and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were performed in both groups 1 week, and 1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In the rebamipide group, we observ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BUT, the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and OSDI at 2 months postoperatively, as compared to 1 week (p = 0.002, 0.014, and 0.013, respectively). Schirmer’s test, tear film osmolarity, and tear lipid layer thickness remained unchanged in the rebamipide group. Throughout the entire follow-up period, the rebamipide group had a significantly prolonged TBUT (1 month: p = 0.007, 2 months: p = 0.000), and lower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1 month: p = 0.000, 2 months: p = 0.000), as compared to the control.
Conclusions: Following cataract surgery, the use of rebamipide eye drops produced improvements in TBUT,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s, and OSDI. This suggests that rebamipide offers benefits in managing dry eye that can occur after cataract surger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4.65.9.5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