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대 외과 질환의 종류와 처방: 간백(簡帛)에 보이는 외상, 화상, 장, 항문 관련 질환을 중심으로

이 글은 지금까지 출토된 간백에 보이는 외과 질환 처방 가운데 외상 13, 금창 13, 경병 6, 화상·탕상 22, 직장·항문 16, 장퇴 15, 모두 합해 85가지의 처방에 대해 살펴보았다. 외상과 화상·탕상의 치료법은 두 질환 모두 외치와 내복의 처방 수의 차이가 보여주는 것처럼 상처 자체에 대한 외치를 기본적으로 행하고 내복을 부가적으로 시행했다는 점, 즉, 상처 부위 자체에 대한 치료를 중시했다는 점에서 양자의 치료법이 기본적으로 동일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금창의 치료에서는 내복법(11)이 외치(4)보다 압도적으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ehan yisa haghoeji 2024, 33(2), 77, pp.371-429
1. Verfasser: 민후기(MIN Hook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이 글은 지금까지 출토된 간백에 보이는 외과 질환 처방 가운데 외상 13, 금창 13, 경병 6, 화상·탕상 22, 직장·항문 16, 장퇴 15, 모두 합해 85가지의 처방에 대해 살펴보았다. 외상과 화상·탕상의 치료법은 두 질환 모두 외치와 내복의 처방 수의 차이가 보여주는 것처럼 상처 자체에 대한 외치를 기본적으로 행하고 내복을 부가적으로 시행했다는 점, 즉, 상처 부위 자체에 대한 치료를 중시했다는 점에서 양자의 치료법이 기본적으로 동일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금창의 치료에서는 내복법(11)이 외치(4)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행해졌고, 경병(파상풍)의 치료에서도 내복법(3)이 외치법(2)을 앞서고 있었다. 신체 내부의 치료를 통해 이들 질병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을 당시 사람들이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직장·항문 질환은 외치법(18)이 내복법(1)에 비해 압도적인 숫자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질환은 기본적으로 수술법과 수술 이후 해당 부위에 대한 약재의 투입이나 훈증을 통해 치료하고 있었다. 그리고 장퇴질환(서혜부 탈장)은 뱀, 계란, 누에알 등 고단백 음식의 섭취를 통해 이 질환의 치료를 시도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types of surgical diseases and treatments in ancient China as documented in bamboo and silk texts, with a particular focus on (external) injury, tetanus, burns, rectal and anal diseases, and inguinal hernias. For this analysis, I gathered 85 instances of disease and treatments recorded in these texts. The 85 cases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13 (external) injuries, 13 metal wounds, 6 tetanus, 22 burns, 16 rectal and anal diseases, and 15 inguinal hernia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eatment of (external) injury and burns focused primarily on the wound site, while the treatment of metal wounds and tetanus centered on addressing the internal body. Internal treatments were mainly prescribed through the use of medicine and food. Surgical intervention was recommended primarily for diseases of the rectum and anus, with medications applied to the woundspost-surgery. For inguinal hernias, a high-protein diet was typically prescribed. As we've seen, in ancient China, surgical diseases were mainly treated with medication, surgery, and dietary prescriptions. And among these prescriptions, drug prescriptions were utilized not only by medical doctors but also by witch–doctors[巫醫] treating diseases in civilian society and soldiers stationed at frontline military posts. In the absence of medical doctors in both civilian society and frontline units, witch–doctors and frontline units purchased or stockpiled prescription drugs and used them to treat patients according to prescrip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505X
2093-5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