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보건간호의 이상과 현실: 미국 간호자문관의 활동과 그 영향, 1945~1961

해방 후 한국의 국가 의료 체계는 경찰 중심의 위생행정에서 보건 중심으로 전환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미군정은 ‘보건’이라는 개념을 한국의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한 주요한 매개체로 보건간호(public health nursing)를 도입했다. 이는 일제강점기 보조적 위치에 놓여 있던 간호를 보건 사업의 독립적이며 주도적인 전문적 대행자로 의료체계 내에 위치시켜야 함과 동시에, 새롭게 구상되고 있던 보건소 행정체계 내에 보건간호를 위한 직위를 마련하고, 대중에게는 간호인력이 보건 활동의 주요한 매개체임을 인식시켜야 하는 복합적인 임무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ehan yisa haghoeji 2024, 33(2), 77, pp.331-369
Hauptverfasser: 이경희(YI Kyunghee), 정준호(JUNG Junh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해방 후 한국의 국가 의료 체계는 경찰 중심의 위생행정에서 보건 중심으로 전환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미군정은 ‘보건’이라는 개념을 한국의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한 주요한 매개체로 보건간호(public health nursing)를 도입했다. 이는 일제강점기 보조적 위치에 놓여 있던 간호를 보건 사업의 독립적이며 주도적인 전문적 대행자로 의료체계 내에 위치시켜야 함과 동시에, 새롭게 구상되고 있던 보건소 행정체계 내에 보건간호를 위한 직위를 마련하고, 대중에게는 간호인력이 보건 활동의 주요한 매개체임을 인식시켜야 하는 복합적인 임무가 주어졌음을 의미했다. 동시에 한국이 가지고 있던 자원의 한계는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던 보건간호의 임무보다 크게 축소된 역할만을 부여하게 만들었다. 가정방문을 통해 기관에서 지역사회 전반으로 확대된 보건사업을 추진하려던 초기의 계획은 모자보건과 전염병 예방 등 한국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동시에 무리하게 추진된 보건소 확대 사업은 각 지역정부의 보건체계 내에서 보건간호의 위치를 축소시켰고, 이는 점진적으로 행정 요원들로 대체되었다. 미군정과 미국 원조 당국에서 주요한 보건의 매개자로 양성했던 보건간호는 1960년대 그 활동이 크게 축소되었지만, 이후 지역사회간호 및 보건의료 활동의 기틀을 마련했다. 동시에 보건간호는 이념적, 제도적 차원을 넘어 해방 후 한국에서 ‘보건’이라는 새로운 개념과 실천들이 지역사회 곳곳에 실질적으로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살필 수 있도록 해준다. South Korea's national healthcare system after liberation often described as transformation from ‘sanitation’ to ‘public health’.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troduced public health nursing as the primary vehicle for communicating the newly introduced concept of public health to the Korean public. This meant that nursing, which had been in a subordinate position within the healthcare system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ad to be repositioned within the healthcare system as an independent and leading professional agent of healthcare. At the same time creating positions for public health nurses within the newly envisioned health center system, and convincing the public that nurses were the primary agents of public health activities. Yet, in resource limited setting, the role of public health nurses was significantly scaled back. Initial plans for institutionalized, community-wide health care through home visits shifted to addressing the challenges facing Korean society, including maternal and child health an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Ironically, the expansion of health centers during late 1950s diminished the position of public health nurses within local government health systems, who were gradually replaced by male administrative staff. The role of public health nurses was greatly curtailed in the 1960s, but they laid the groundwork for later community nursing and health care efforts. At the same time, public health nurses were assigned with new role of ‘visiting’ local health centers for observation, education, and management. Public health nursing allows to look beyond the ideologic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to examine how new concepts and practices of "public health" were actually transmitted to communit
ISSN:1225-505X
2093-5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