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착시스템의 소수성이 Low-shrinkage silorane resin과 상아질의 미세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소수성을 지닌 최신 상아질 접착시스템과 저수축 silorane 레진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갓 발치된 제3대구치를 이용했다. Low-speed diamond saw를 사용하여 교합면에 평행하게 치관을 잘라 middle dentin을 노출시켰다. 치아를 무작위로 9 group으로 나눴다. Silorane self-etch adhesives (SS), SS +phosphoric acid etching (SS + pa), Adper Easy bond (AE),...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2011, 36(4), , pp.280-289
Hauptverfasser: 조소연, 강현영, 김경아, 유미경, 이광원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소수성을 지닌 최신 상아질 접착시스템과 저수축 silorane 레진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갓 발치된 제3대구치를 이용했다. Low-speed diamond saw를 사용하여 교합면에 평행하게 치관을 잘라 middle dentin을 노출시켰다. 치아를 무작위로 9 group으로 나눴다. Silorane self-etch adhesives (SS), SS +phosphoric acid etching (SS + pa), Adper Easy bond (AE), AE + Silorane system bonding (AE + SSb),Clearfil SE bond (CSE), CSE + SSb, All-Bond 2 (AB2), AB2 + SSb, All-Bond 3 (AB3). 접착제를 적용한 후에Filtek LS (3M ESPE)를 2 mm씩 3회 적층충전하였다. 각 층은 40s씩 광중합하였다. 0.8 mm × 0.8 mm stick을 Micro Tensile Tester로 1 mm/min cross-head speed의 인장력을 가하였다. 파절양상를 관찰하기 위해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였다. 5가지 접착제의 소수성정도를 결정하기위해 water sorption test하였다. 결과: silorane 레진과 5가지 접착제의 μTBS: SS, 23.2 ± 6.9 MPa; CSE, 19.4 ± 4.4 MPa; AB3, 30.3 ± 4.0 MPa;AB2와 AE, no bond. Additional layering of SSb: CSE + SSb, 26.2 ± 10.3 MPa; AB2 + SSb, 33.9 ± 7.3 MPa;AE + SSb, no bond. 높은 μTBS는 cohesive failure와 관련있었다. SS는 낮은 가장 낮은 water sorption을 보였고 다음으로 AB3, AE, CSE, AB2 순서였다. AE는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CSE, AB2였다. 결론: 접착제의 소수성이 증가할수록, silorane 레진의 접착강도도 증가하였다. 비전용접착제 위에 silorane adhesive bonding을 layering하는 것은 AB2 + SSb 그룹에서만 결합강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AB3는 SS와 유사한 μTBS &water sorption을 나타냈다. 따라서 AB3는 siloran resin을 접착시키는데 SS를 대체할만한 경쟁력있는 접착제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μTBS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current dentin bonding adhesives which have different hydrophobicity with low-shrinkage silorane resi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ix human third molars were used. Middle dentin was exposed. The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to nine experimental groups: Silorane self-etch adhesives (SS), SS + phosphoric acid etching (SS + pa), Adper easy bond (AE), AE + Silorane system bonding (AE + SSb), Clearfil SE bond (CSE), CSE + SSb, All-Bond 2 (AB2), AB2 + SSb, All-Bond 3 (AB3). After adhesive’s were applied, the clinical crowns were restored with Filtek LS (3M ESPE). The 0.8 mm × 0.8 mm sticks were submitted to a tensile load using a Micro Tensile Tester (Bisco Inc.). Water sorption was measured to estimate hydrophobicity adhesives. Results: μTBS of silorane resin to 5 adhesives: SS, 23.2 MPa; CSE, 19.4 MPa; AB3, 30.3 MPa; AB2 and AE, no bond. Additional layering of SSb: CSE + SSb, 26.2 MPa; AB2 + SSb, 33.9 MPa; AE + SSb, no bond. High value of μTBS was related to cohesive failure. SS showed the lowest water sorption. AE showed the highest solubility. Conclusions: The hydrophobicity of adhesive increased, and silorane resin bond-strength was also increased. Additional hydroph
ISSN:2234-7658
2234-7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