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C-QTOF/MS 및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한 천궁(Cnidii Rhizoma)의 경북지역 산지 및 수확시기별 화학적 마커 선정
천궁(川芎, Cnidii Rhizoma)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중국이고, 대한민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천궁의 주요 성분으로는 phthalide 및 phenolic 계열의 화합물이 보고되어 있다. 경북산 천궁의 대사산물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파일링과 다변량 통계 분석 기법인 PCA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각 peak별로 phthalide 16종, phenolic acid 6종, coumarin 3종, phenylpropanoid 2종, aromatic glycoside, fla...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4, 67(0), , pp.113-122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천궁(川芎, Cnidii Rhizoma)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중국이고, 대한민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천궁의 주요 성분으로는 phthalide 및 phenolic 계열의 화합물이 보고되어 있다. 경북산 천궁의 대사산물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파일링과 다변량 통계 분석 기법인 PCA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각 peak별로 phthalide 16종, phenolic acid 6종, coumarin 3종, phenylpropanoid 2종, aromatic glycoside, flavonoid, 및 steroid 각각 1종을 동정하여 총 30 종의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또한 산지 및 수확시기별 그룹간의 구별에 기여하는 화학적 마커를 동정하기 위해 OPLS-DA의 s-plot 모델을 적용하여 경북 봉화군 및 영양군의 2019년산 2020년산의 각 그룹의 군집경향성을 확인하였으며, 화학적 마커들은 phenolic acid, phenylpropanoid, phthalide glycoside 계열이며 구분에 기여하는 compound 3종(peaks No. 4, 25, 28)을 동정하였다.
Cnidii Rhizoma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Umbelliferae family. Its origin is China, and it is distributed in Korea and Japan. It has been reported that phthalide and phenolic compounds are the main ingredients. To confirm changes in metabolites from Gyeongbuk production area and harvested time, metabolite profiling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a total of thirty-two compounds including sixteen of phthalide, phenolic acid, three of coumarin, one of aromatic glycoside, flavonoid, and steroid, two of phenylpropanoid, and unknown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s-plot model of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chemical markers that contribute to discrimination between groups by production area and harvest time. The clustering tendency of the 2019 and 2020 groups in Gyeongbuk-Bonghwa and Gyeongbuk- Yeongyang areas was confirmed. The chemical markers which were peaks No. 4, 25, and 28 identified were phenolic acid, phenylpropanoid, and phthalide glycoside. |
---|---|
ISSN: | 1976-0442 2234-7941 |
DOI: | 10.3839/jabc.2024.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