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의 아동ㆍ청소년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 가정외보호 유형에 의해 조절된 단절-거절 영역 도식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아동ㆍ청소년기 외상과 단절-거절 영역 도식, 우울의 관계를 탐색하고, 가정외보호 유형(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에 따라 아동ㆍ청소년기 외상이 단절-거절 영역 도식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조절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명에게 설문을 시행하고, PROCESS Macro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불신-학대 도식과 결함-수치심 도식은 아동ㆍ청소년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둘째, 모든 가정외보호 유형에서 불신-학대 도식과 결함-수치심 도식은아동ㆍ청소년기 외상과...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Seuteureseu yeon-gu (Online) 2024, 32(1), , pp.9-18
Hauptverfasser: 박신영(Shin Young Park), 현명호(Myoung-Ho Hyun), 진민진(Min Jin Ji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아동ㆍ청소년기 외상과 단절-거절 영역 도식, 우울의 관계를 탐색하고, 가정외보호 유형(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에 따라 아동ㆍ청소년기 외상이 단절-거절 영역 도식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조절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명에게 설문을 시행하고, PROCESS Macro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불신-학대 도식과 결함-수치심 도식은 아동ㆍ청소년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둘째, 모든 가정외보호 유형에서 불신-학대 도식과 결함-수치심 도식은아동ㆍ청소년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였고, 가정외보호 유형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외상을 경험한 자립준비청년의 우울감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depression among youths in the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impact of childhood trauma on depression, mediated b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was moderated by the type of out-of-home care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Methods: A survey questionnaire measuring childhood trauma,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depression was administered to 201 participants. Results: Mistrust-abuse and defectiveness-shame schem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In all types of out-of-home care, both the mistrust-abuse and defectivenessshame schem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 type of out-of-home car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depression during the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in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4.3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