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규범 현지화(Localization)와 북한의 SDGs 수용 양태: 북한과 라오스 VNR의 비교

북한은 2021년 UN 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자발적국가보고서(Voluntary National Reviews) 발표를 통해 SDGs를 ‘우리식SDGs’로 흡수하고 자국의 국가발전목표와 통합하여 이행하고 있음을 밝혀 주목을끌었다. SDGs는 규범의 폭넓은 수용을 위해 규범의 내재화 과정에서 규범 수용자 (norm taker)의 맥락을 반영하는 ‘현지화’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지표(indicator) 수준의 채택, 변형, 누락까지 면밀한 분석은 아직...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ukche chŏngch'i nonch'ong 2023, 63(4), , pp.197-235
Hauptverfasser: 홍지영(Jiyoung Hong), 강우철(Woochul K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북한은 2021년 UN 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자발적국가보고서(Voluntary National Reviews) 발표를 통해 SDGs를 ‘우리식SDGs’로 흡수하고 자국의 국가발전목표와 통합하여 이행하고 있음을 밝혀 주목을끌었다. SDGs는 규범의 폭넓은 수용을 위해 규범의 내재화 과정에서 규범 수용자 (norm taker)의 맥락을 반영하는 ‘현지화’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지표(indicator) 수준의 채택, 변형, 누락까지 면밀한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북한의 SDGs 규범양태를 규명하기 위해 VNR 239개 지표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이론적 분석틀로써 규범 현지화를 ‘완전한 수용’, ‘부분 수용’, 재해석‘, ’거부‘로 구분하는 ‘SDGs 현지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북한과 경제 수준과 지리 적, 정치적 환경이 유사한 라오스와 북한의 SDGs 수용 양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은 정치적으로 민감하거나 체제 유지에 불리한 목표를 회피하였는데 이와 같은 특징은 라오스에 비해서도 두드러진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규범 현지화가 내재화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SDGs의 핵심 가치 이행에 장애가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현지화 과정에서 규범수용자의 역할이 더 강조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In 2021, the DPRK attracted attention by presenting its Voluntary National Review (VNR)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t the UN General Assembly. The DPRK asserted that they had integrated the SDGs into their national development goals for implementation. The SD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calization” to reflect the context of norm-takers in the process of the norm cascade. However, the existing literature has not fully examined the aspects of adoption, variation, and omission at the goal level. This study examines the 239 indicators in the VNR to better understand the adoption of SDG norms in the DPRK. By proposing an “SDGs Localization Framework,” the paper classifies the level of norm compliance into four categories: ‘wholesale acceptance,’ ‘cut-off branches,’ ‘re-framing,’ and ‘rejection.’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tterns of SDGs compliance between the DPRK and Laos, which share similar economic levels and geographic and political environm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PRK avoids politically sensitive or regime-disadvantageous goals, even more so than Laos. This paper suggests that norm localization does not always align with norm internalization and can actually hinder the fulfillment of the core values of the SDGs. It also argues for a stronger emphasis on the role of norm-takers in the process of localiza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18
2713-6868
DOI:10.14731/kjir.2023.12.63.4.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