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미술회」의 성격 연구: 자연미술가의 태동
본 논문은 야외미술 단체 「바깥미술회」의 자연에 대한 태도를 고찰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1981년 《겨울·대성리·31인전》으로 시작해 현재까지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는 「바깥미술회」를 조명해보고 그 의의를 재검토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앵포르멜, 기하추상, 단색조 회화 등 주류 화단 속 주변부로 시선을 돌리는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한국 현대미술계의 다양성을 파악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미술관 내부에서 이루어진 전시 활동에 집중하고 있으며 야외미술 단체의 비중은 높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바깥미술회...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Misulsa yŏn'gu 2023, 0(45), , pp.205-228 |
---|---|
1. Verfasser: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논문은 야외미술 단체 「바깥미술회」의 자연에 대한 태도를 고찰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1981년 《겨울·대성리·31인전》으로 시작해 현재까지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는 「바깥미술회」를 조명해보고 그 의의를 재검토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앵포르멜, 기하추상, 단색조 회화 등 주류 화단 속 주변부로 시선을 돌리는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한국 현대미술계의 다양성을 파악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미술관 내부에서 이루어진 전시 활동에 집중하고 있으며 야외미술 단체의 비중은 높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바깥미술회」의 태동 계기를 《겨울·대성리전》과 마찬가지로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정신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바깥미술회」의 출범 배경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다.
이를 위해 「바깥미술회」가 지향하는 자연에 대한 태도와 이와 같은 태도가 형성된 배경에 주목하였다. 1981년부터 1992년까지 매년 대성리 북한강변에서 개최된 야외전시인 《겨울·대성리전》은 12년 동안 작업을 해온 자연에 대한 구체적인 담론 형성의 실패와 타성에 젖은 작품들로 발전의 한계를 마주하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92년 「바깥미술회」로 발전적 해체가 되었다. 이와 같은 이행 과정 속에서 1980년대의 《겨울·대성리전》은 기성 화단에 대한 저항정신을 보여준 반면, 「바깥미술회」는 저항의 대상을 산업사회, 환경파괴로 선회했음이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바깥미술회」는 자연과 인간이 분리되지 않는 삶을 지향하고 무분별한 문명이기의 발달이 야기한 환경파괴에 대한 작업 방향을 확고히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바깥미술회」전반적으로 문명비판적 태도가 비중있게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염원하는 태도 또한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바깥미술회」의 지향점은 환경, 생태적인 면에 있으며, 여기에는 문명에 대한 비판적 요소가 비중있게 자리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바깥미술회」의 작업에 있어서 전반적인 경향을 읽을 수 있었으며, 향후 더 심도 있는 연구의 단초를 마련한 점을 본 연구의 의의로 삼고자 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approach to nature espoused by the outdoor art collective Baggat Art, intending to highlight the group itself—active since the 1981 exhibition Winter, Open-Air Art Show at Daesung-ri by 31 Artists (Winter, Daesung-ri)—and reexamine its significance.
To date, many have assumed that the birth of the Baggat Art, like that of the Winter, Daesung-ri exhibition, was rooted in a spirit of resistance aimed at the established generation of artists, a conclusion stemming from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wider context which surrounded the inception of the group. This paper accordingly focuses on the Baggat Art’s stance with regards to nature and the circumstances that shaped this position.
An outdoor exhibition held annually from 1981 to 1992 on the banks of the Bukhan-gang River (Daesung-ri), the twelve years of Winter, Daesung-ri challenged the participating artists with their failure to build a discourse surrounding the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their work was based, as well as their own developmental limitations; a combination of which had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only perfunctory pieces of work. The formation of the Baggat Art in 1992 was therefore a constructive dismantling of the Winter, Daesung-ri shackles, in an attempt to overcome such shortcomings. During this process, the Baggat Art reoriented its resistance to target industrialized society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whereas the Winter, Da |
---|---|
ISSN: | 1229-3326 |
DOI: | 10.52799/JAH.2023.12.45.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