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자(Schisandra chinensis)의 국내 산지별 화학적마커 선정을 위한 LC/MS 기반의 대사체학 접근법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는 오미자과에 속하는 낙엽활엽덩굴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오미자에 함유된 주요 성분에는 리그난 화합물뿐만 아니라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국 산지별 오미자의 특성을 구별하기 위해 대사산물 프로파일링과 다변량 통계 분석 기법인 PCA을 수행하여 판별식을 설정하였고, 그 결과 triterpenoids 16종, lignan 9종, flavonoid, phenylpropanoid, fatty acid 각 1종을 동정하였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3, 66(0), , pp.467-476
Hauptverfasser: 김인선, In Seon Kim, 오선민, Seon Min Oh, 송하은, Ha Eun Song, 김두영, Doo-young Kim, 윤다혜, Dahye Yoon, 이대영, Dae Young Lee, 류형원, Hyung Won Ryu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는 오미자과에 속하는 낙엽활엽덩굴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오미자에 함유된 주요 성분에는 리그난 화합물뿐만 아니라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국 산지별 오미자의 특성을 구별하기 위해 대사산물 프로파일링과 다변량 통계 분석 기법인 PCA을 수행하여 판별식을 설정하였고, 그 결과 triterpenoids 16종, lignan 9종, flavonoid, phenylpropanoid, fatty acid 각 1종을 동정하였다. 또한 다변량 통계분석을 통해 OPLS-DA의 s-plot 모델을 적용하여 단양, 문경, 거창, 평창의 4개 그룹을 구분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lanostane, cycloartane, 그리고 schiartane triterpenoid, dibenzocyclooctadiene lignan 이 각각 화학적마커로 동정하였다. Schisandra chinensis (S. chinensis) is a deciduous broad-leaved cave plant belonging to the Schisandraceae family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ain components contained in S. chinensis include lignan compounds and triterpenoid compounds.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of S. chinensis by production region of Korea, a discriminant was established by performing metabolite profiling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As a result, 16 types of triterpenoids, 9 types of lignan, and 1 type each of flavonoid, phenylpropanoid, and fatty acid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roug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ur groups in Danyang, Moongyeong, Geochang, and Pyeongchang were divided, by applying the s-plot model of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Biomarkers were identified: lanostane, cycloartane, schiartane triterpenoid, and dibenzocyclo-octadiene lignan were identified as chemical markers, respectively.
ISSN:1976-0442
2234-7941
DOI:10.3839/jabc.2023.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