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의료에서 일본 임상병리사의 새로운 역할과 시사점

일본에서 ‘팀 의료’는 임상병리사가 당뇨병팀, 영양지원팀, 감염관리팀, 진료지원팀 등 다양한 종류의 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최근 의료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임상병리사는 채혈, 검체 채취, 검사, 심전도 등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의사, 간호사와 협력하여 ‘진료보조나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병동이나 응급실에 상주하는 임상병리사는 임상검사실과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의료의 질 향상과 의료안전 확보에 더 잘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의사와 간호사는 업무부담이 경감되고...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023, 55(3), , pp.213-218
Hauptverfasser: 구본경, Bon-kyeong Koo, 이민우, Min Woo Lee, 이상희, Sang Hee Lee, 최병호, Byoung Ho Cho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일본에서 ‘팀 의료’는 임상병리사가 당뇨병팀, 영양지원팀, 감염관리팀, 진료지원팀 등 다양한 종류의 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최근 의료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임상병리사는 채혈, 검체 채취, 검사, 심전도 등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의사, 간호사와 협력하여 ‘진료보조나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병동이나 응급실에 상주하는 임상병리사는 임상검사실과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의료의 질 향상과 의료안전 확보에 더 잘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의사와 간호사는 업무부담이 경감되고 보다 나은 환자관리를 위해 헌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en it comes to ‘Team Medical Care’ in Japan,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have actively engaged in various kinds of teams, such as a diabetes team, a nutrition support team, an infection control team and a medical practice support team. Overall, with continual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are recently being required to not only conduct phlebotomy, specimen collection, laboratory testing, and electrocardiography, but also get actively involved in ‘medical practice assistance or support’ in collaboration with medical doctors and nurses.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resident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in wards or emergency rooms in Korea will be better able to contribute to improving medical quality and securing medical safety by functioning as a link to the clinical laboratory, while medical doctors and nurses will have a reduced burden of work and can dedicate themselves to better patient care.
ISSN:1738-3544
2288-1662
DOI:10.15324/kjcls.2023.55.3.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