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본 연구는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3T3-L1 지방 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및 지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지방세포 분화 및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수준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지방형성 억제 효과가 어떠한 작용기전에 의해 유도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청가시덩굴 추출물과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3, 66(0), , pp.369-378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3T3-L1 지방 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및 지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지방세포 분화 및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수준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지방형성 억제 효과가 어떠한 작용기전에 의해 유도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청가시덩굴 추출물과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acertannin을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조절인자들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형성 및 지방산 합성 관련 인자인 PPARγ, C/EBPα, ADD1/SREBP1c, FAS, aP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축적 인자의 조절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산림자원의 항비만 및 고지혈증 개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milax sieboldii is one of the Smilax species. A number of Smilax plants have multiple physiologically-active components and anti-inflammatory/anti-oxidant effects. Antiobesity effects induced by Smilax sieboldii have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anti-obesity activity of 70% ethanol Smilax sieboldii extract (SSE). The anti-obesity effect of SSE was determined using 3T3-L1 adipocytes. We confirmed that SSE was not cytotoxic to murine 3T3-L1 preadipocytes, we evaluated SSE dosedependently decreased the accumulation of lipids via an Oil Red O assay and triglyceride assay. These anti-obesity activities of SSE were mediated by the inhibition of adipogenesis-related marker gene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and SREBP1c) and lipogenesisrelated marker genes (fatty acid synthase and aP2). These results suggest that SSE has the potential to exert anti-obesity and antihyperlipidemia effects by regulating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markers. |
---|---|
ISSN: | 1976-0442 2234-7941 |
DOI: | 10.3839/jabc.2023.0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