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환경인자의 변화에 따른 안구건조증 지표의 변화 분석
목적: 원발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습도, 온도,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가 안구건조증 지표에 미치는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경과 관찰 동안 동일한 안구건조증 치료제를 사용해 왔으며 2회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원발쇼그렌증후군 환자1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환자의 Symptom Assessment in Dry Eye (SANDE) 점수, 눈물 분비량, 눈물막파괴시간, 안구표면염색점수, 눈물 오스몰 농도 등을 조사하였고, 환자의 내원 전 1주간의 온도, 습도, 초미세먼지 농도를 공공 데이터를통...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23, 64(8), , pp.680-687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원발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습도, 온도,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가 안구건조증 지표에 미치는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경과 관찰 동안 동일한 안구건조증 치료제를 사용해 왔으며 2회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원발쇼그렌증후군 환자1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환자의 Symptom Assessment in Dry Eye (SANDE) 점수, 눈물 분비량, 눈물막파괴시간, 안구표면염색점수, 눈물 오스몰 농도 등을 조사하였고, 환자의 내원 전 1주간의 온도, 습도, 초미세먼지 농도를 공공 데이터를통해 산출하여 안구건조증 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7.6 ± 12.4세였으며, 모두 여성이었다.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가 높았으며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4, 0.006). 높은 습도, 높은 온도, 낮은 초미세먼지 농도군에서 낮은 습도, 낮은 온도, 높은 초미세먼지 농도군에비해 SANDE 점수와 눈물 오스몰 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SANDE: p=0.017, 0.063, 0.049; tear osmolarity: p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3.64.8.6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