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에서 급성 인두편도염의 원인에 대한 연구
목적: 소아에서 급성 인두편도염의 원인균의 분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급성 인두편도염 환자의 인두 후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원인 바이러스와 세균을 분석하였다. 결과: 615명의 환자 중, 세균이 분리된 경우는 40례(6.5%), 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는 310례(50.4%) 이었다. 분리된 세균 중 A군 사슬알균이 31례(77.5%)로 가장 많았고, 검출된 바이러스 중에는 adeno virus가 가장 많았으며(203명; 65.5%), 그 다음으로 rhinovirus (65명; 21.0%...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Pediatric infection & vaccine 2016, 23(1), , pp.40-45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소아에서 급성 인두편도염의 원인균의 분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급성 인두편도염 환자의 인두 후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원인 바이러스와 세균을 분석하였다. 결과: 615명의 환자 중, 세균이 분리된 경우는 40례(6.5%), 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는 310례(50.4%) 이었다. 분리된 세균 중 A군 사슬알균이 31례(77.5%)로 가장 많았고, 검출된 바이러스 중에는 adeno virus가 가장 많았으며(203명; 65.5%), 그 다음으로 rhinovirus (65명; 21.0%), enterovirus (43명; 13.9%) 순이었다. 기침, 콧물, 결막염은 바이러스 감염 환자에서, 연구개의 발적과 점상출혈은 세균 감염 환자에서 더 많았다. 결론: 급성 인두편도염 환자에서 바이러스 감염이 세균 감염에 비해 많았으며 임상양상에 차이를 보였 다. 따라서 급성 인두편도염 환자에서 무조건적인 항생제의 사용을 피하고 임상양상의 차이를 감안하여 치료를 결정해야 하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tiology of acute pharygotonsillitis in pediatric patients. Methods: Pharyngeal swabs from patients with acute pharyngotonsillitis were evaluated for viruses and bacterial organisms from March 2010 through March 2011. Results: Of 615 patients, potentially pathogenic bacteria were isolated in 40 (6.5%), viruses were isolated in 310 (50.4%), and no patho gens were isolated in 267 patients (43.4%). Both viral and bacterial pathogens were found in 2 (0.3%). Of 40 patients with bacterial pathogens, group A streptococci were found in 31 (77.5%). Among 310 patients with virus infection, adenovirus was the most frequently recovered (203 patients; 65.5%), followed by rhinovirus (65 patients; 21.0%), enterovirus (43 patients; 13.9%) and coronavirus (18 patients; 5.8%). There were 25 patients who had been coinfected with 2 viruses. In viral pharyngotonsillitis, cough, rhinorrhea, conjunctivitis and di arrhea were prominent. On the other hand, pharyngeal injection and pharyngeal petechiae were prominent in bacterial pharyngotonsillitis. Conclusions: Virus infection was a big part of acute pharyngotonsilliti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linical manifestations among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Therefore, we need to distinguish between virus infection and bacterial infection using clinical signs for preventing the abuse of antibiotics. |
---|---|
ISSN: | 2384-1079 2384-10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