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생태계교란 외래 양서·파충류의 분포특성
본 연구는 외래생물 전국 서식실태조사(2015~2021년)를 통해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생물 중 양서류 1종과 파충류 1속4종을 대상으로 분포 및 서식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태계교란 양서류인 황소개구리는 415개 지점, 파충류인 붉은귀거북류는 513개 지점, 리버쿠터는 174개 지점, 플로리다붉은배거북은 66개 지역, 중국줄무늬목거북은 31개 지점으로 도입시기가 오래된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류의 분포범위가 타 생태계교란 외래 거북류 보다 넓게 나타났다. 황소개구리의 전체 서식 면적 중 농업지역의 비율은 46%, 시가화·건조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Geo Data 2022, 4(4), , pp.20-27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외래생물 전국 서식실태조사(2015~2021년)를 통해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생물 중 양서류 1종과 파충류 1속4종을 대상으로 분포 및 서식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태계교란 양서류인 황소개구리는 415개 지점, 파충류인 붉은귀거북류는 513개 지점, 리버쿠터는 174개 지점, 플로리다붉은배거북은 66개 지역, 중국줄무늬목거북은 31개 지점으로 도입시기가 오래된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류의 분포범위가 타 생태계교란 외래 거북류 보다 넓게 나타났다. 황소개구리의 전체 서식 면적 중 농업지역의 비율은 46%, 시가화·건조지역의 비율은 15%였다. 붉은귀거북류의 전체 서식 면적 중 농업지역의 비율은 35%, 시가화·건조지역의 비율은 24%로 나타났다. 이 종들은 시가화·건조지역보다 자연성이 높은 저수지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0년 초반에 도입되어 서식지역과 서식 개체수도 적은 중국줄무늬목거북은 전체 서식 면적 중 농업지역 비율이 43%, 시가화·건조지역 비율이 29%로 자연성이 높은 농경지역에 주로 서식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줄무늬목거북에 대한 생태적, 인위적 방사 등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status of 1 species of amphibian and 4 species in 1 genus of reptiles among “ecosystem-disturbing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rough the National Habitat Survey of Alien Species (2015-2021). As a result, Rana catesbeiana with 415 sites, Trachemys spp. with 513 sites, Pseudemys concinna with 174 sites, Pseudemys nelsoni with 66 sites, and Mauremys sinensis with 31 sites. Of the total habitat area of R. catesbeiana, the agricultural land area accounted for 46% and the used(urbanized/dry) area accounted for 15%. Of the total habitat area of T. spp, the ratio of agricultural land areas was 35%, and the ratio of used areas was 24%. These species were found to live mainly in reservoir areas with higher natural characteristics than in urbanized and dry areas. However, M. sinensis, which were introduced in early 2000 and have a small number of habitats, mainly inhabited agricultural land areas with high naturalness, with agricultural land areas accounting for 43% and used areas accounting for 29% of the total habitat area. Accordingly, a detailed study on the ecology and artificial release of the M. sinensis is need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713-5004 |
DOI: | 10.22761/DJ2022.4.4.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