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자동화 서비스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와 대응전략 -목적, 시사점, 전략을 중심으로
This study discusses mass unemployment and job insecurity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ical progress.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automation service method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work productivity, preventing on-site safety accidents, and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서비스 연구 2022, 12(3), 36, pp.158-175 |
---|---|
Hauptverfasser: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This study discusses mass unemployment and job insecurity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ical progress.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automation service method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work productivity, preventing on-site safety accidents, and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rding to rapid development and convergence between technologies. However, there is great concern that the position of workers will decrease and the income distribution will deteriorate. Therefore, this study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anxiety of the labor market and to find a direction for the government and all walks of life to ponder. To carry out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experts currently engaged in the construction field, and through analysis, we intend to derive meaning and identify current trends, identify necessary improvement measures and institutional areas and suggest research direc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possible to suggest a response strategy in a total of three themes: purpose, implication, and strategy. Based on this, there are response strategies in four areas: (1) industrial site response, (2) worker response, (3) education, and (4) training response, and government and corporate response.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economic and sociological discussions in the future so that the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society as a whole du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of construction automation services does not lead to social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and a decrease in jobs in the labor marke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기술 진보로 대량 실업과 고용불안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특히 건설 자동화 서비스 방식은 빠른 발전과 기술간 융합에 따라 작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현장 안전사고 방지, 건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노동자들의 자리는 감소할 것이며 소득분배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노동 시장의 불안감을 완화시키고 정부 및 사회 각계각층이 고민하여 방향성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현재 건설 분야에 종사 중인 2명의 전문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의미 도출과 현 경향을 파악하고 필요한 개선방안과 제도적 영역에 관해 규명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목적, 시사점, 전략적 총 3개의 주제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현장의 대응, 노동자 대응, 교육훈련 대응, 정부와 기업의 대응으로 총 4개의 분야별로 대응 전략을 제언할 수가 있다. 산업 현장의 대응은 수평적이고 유연화된 조직 문화로 전환 되어야 하고 기존 노동자의 교육과 신규 인재양성이 필요하다. 노동자 대응은 융합능력과 깊은 전문성을 길러야 하며 교육훈련 대응은 직업교육과 훈련에 초점을 맞춘 재교육 시스템 도입을 갖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기업의 대응은 건설 기술 서비스 창업 및 창직 활성화를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건설 자동화 서비스의 기술혁신에 따른 사회 전반의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이 노동 시장에서 실업률 상승과 일자리 감소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지 않도록 향후 경제 및 사회학적으로 논의를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
---|---|
ISSN: | 2234-2850 2466-1813 |
DOI: | 10.18807/jsrs.2022.12.3.1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