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선나무 꽃 색에 따른 생리활성 화합물 및 항염증 활성 비교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1속 1종의 한반도 고유식물이다. 꽃잎색의 변이에 따라 미선(백색), 분홍미선, 상아미선 그리고 연노랑색의 옥황1호 품종 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4종류의 꽃 추출물(FAD)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함량과 항염증 활성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FAD의 생리활성 물질은 LC/MS 분석을 통해 rutin, hirsutrin, 그리고 acteoside를 분석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의 함...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2, 65(3), , pp.203-213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1속 1종의 한반도 고유식물이다. 꽃잎색의 변이에 따라 미선(백색), 분홍미선, 상아미선 그리고 연노랑색의 옥황1호 품종 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4종류의 꽃 추출물(FAD)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함량과 항염증 활성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FAD의 생리활성 물질은 LC/MS 분석을 통해 rutin, hirsutrin, 그리고 acteoside를 분석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에 따라 유의성 있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FAD는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유발 매개체(산화질소, iNOS, COX-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NF-κB와 MAPK 신호전달 경로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Abeliophyllum distichum (A. distichum, Korean endemic plant) is one genus and one species in the Oleaceae family. According to the color variation of petals and calyx, A. distichum is classified as A. distichum (white flower), A. distichum for. lilacinum (pink flowers), A. distichum for. eburneum (ivory flowers), and Okhwang 1 (golden flowers). In previous studies, bioactivitie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of A. distichum have been reported. We conducted a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in bioactive compounds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n macrophages among four flowers of A. distichum (FAD). The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glycosides were analyzed by HPLC/PDA and LCMS. These results were shown FAD has rutin, hirsutrin, and acteoside. Antioxidant activity of FAD significantly de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In addition, FAD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nitric oxide, iNOS, and COX-2)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cells. For further study, we investigated the regulation of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pathways. In conclusion, FAD may exert anti-inflammatory effects by suppressing inflammatory mediators via regulations of NF-κB and MAPK signaling pathway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D is a potential resource as a preventa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inflammation. |
---|---|
ISSN: | 1976-0442 2234-7941 |
DOI: | 10.3839/jabc.2022.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