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모음부족형 외사시에서 양안 외직근 후전 및 하방전위술과 양안 외직근 근경사후전술의 비교

목적: 눈모음부족형 외사시에서 양안 외직근 후전 및 하방전위술과 양안 외직근 근경사후전술의 수술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2012년 1월에서 2021년 1월까지 눈모음부족형 외사시로 양안 외직근 후전 및 하방전위술 또는 양안 외직근 근경사후전술을시행받고 1년 이상 경과 관찰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나이, 수술 전 최대교정시력, 구면렌즈대응치, 안축장길이, 수술량, 수술 전, 수술 직후, 1주 후, 6개월 후, 1년 후의 사시각, 수술 전, 수술 6개월 후, 1년 후의 입체시, 그리고 수술 성공률을 후향적으로비교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22, 63(9), , pp.778-784
Hauptverfasser: 김성준(Sung Joon Kim), 전혜신(Hyeshin Jeon), 최희영(Hee-Young Cho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눈모음부족형 외사시에서 양안 외직근 후전 및 하방전위술과 양안 외직근 근경사후전술의 수술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2012년 1월에서 2021년 1월까지 눈모음부족형 외사시로 양안 외직근 후전 및 하방전위술 또는 양안 외직근 근경사후전술을시행받고 1년 이상 경과 관찰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나이, 수술 전 최대교정시력, 구면렌즈대응치, 안축장길이, 수술량, 수술 전, 수술 직후, 1주 후, 6개월 후, 1년 후의 사시각, 수술 전, 수술 6개월 후, 1년 후의 입체시, 그리고 수술 성공률을 후향적으로비교분석하였다. 결과: 하방전위술군 45명과 근경사후전술군 40명이 포함되었고 수술 1년 후 하방전위술군에서 원거리사시각은 1.96 ± 8.77 prism diopter (PD), 근거리사시각은 5.53 ± 9.09 PD로 감소하였고, 근경사후전술군에서 원거리사시각은 4.60 ± 4.99 PD, 근거리사시각은 9.03 ± 9.09 PD로 감소하였다. 근-원거리 사시각 차이는 수술 1년 후 하방전위술군에서 3.58 ± 5.26 PD, 근경사후전술군에서4.43 ± 5.32 PD였다. 수술 1년 후 수술 성공률은 하방전위술군에서 55.6%, 근경사후전술군에서 52.5%이며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78). 결론: 눈모음부족형 외사시에서 양안 외직근 후전 및 하방전위술과 양안 외직근 근경사후전술 모두 원거리 및 근거리외사시 및 근-원거리사시각 차이를 교정하는데 효과적이었으므로 두 방법 모두 눈모음부족형 외사시의 일차수술로써 고려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with down transposition and slanted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s surgical methods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type exotropia. Methods: We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with down transposition or slanted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type exotropia from January 2012 to January 2021 and observed them for more than 1 year.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ex, age, preoperativ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spherical equivalent, axial length, amount of surgery, and deviation angle before surgery and after surgery (immediately, 1 week, 6 months, and 1 year). We also examined surgical success and stereopsis before surgery and after 6 months and 1 year. Results: The down transposition group included 45 patients and the slanted group included 40. The deviation angle of distance, deviation angle of near and the near-distance disparity (NDD) all decreased in the down transposition group and slanted group 1 year after surgery (1.96 ± 8.77 prism diopter [PD] and 4.60 ± 4.99 PD, respectively; 5.53 ± 9.09 PD and 9.03 ± 9.09 PD, respectively; and 3.58 ± 5.26 PD and 4.43 ± 5.32 PD, respectively). Surgical success after 1 year was 55.6% in the down transposition group and 52.5% in the slanted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In convergence insufficiency-type exotropia, both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with down transposition and slanted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were effective to correct the deviation angle of near, distance, and NDD. Both are suitable primary surgical methods for convergence insuffic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22.63.9.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