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 주위 내망막층 결손이 있는 고도 근시안의 녹내장 진행
목적: 혈관 주위 내망막층 결손이 있는 고도 근시안에서 녹내장이 진행한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증례요약: 고도 근시안을 가진 17세 여자의 안저검사에서 양안 모두 망막혈관 주위에 망막신경섬유층이 갈라진 듯한 양상의 불규칙적인 경계와 균일하지 않은 내부 결손을 가진 이상 부위가 관찰되었다. 녹내장에서 관찰되는 망막신경섬유층 결손보다는 혈관 주위내망막층 결손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치료 없이 관찰하였다. 이후 10년간 경과 관찰한 결과, 안저사진에서 혈관 주위 내망막층결손이 있던 부위 주위로 망막신경섬유층 결손과 시신경테 두께 감...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22, 63(8), , pp.727-734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혈관 주위 내망막층 결손이 있는 고도 근시안에서 녹내장이 진행한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증례요약: 고도 근시안을 가진 17세 여자의 안저검사에서 양안 모두 망막혈관 주위에 망막신경섬유층이 갈라진 듯한 양상의 불규칙적인 경계와 균일하지 않은 내부 결손을 가진 이상 부위가 관찰되었다. 녹내장에서 관찰되는 망막신경섬유층 결손보다는 혈관 주위내망막층 결손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치료 없이 관찰하였다. 이후 10년간 경과 관찰한 결과, 안저사진에서 혈관 주위 내망막층결손이 있던 부위 주위로 망막신경섬유층 결손과 시신경테 두께 감소가 관찰되고 빛간섭단층촬영에서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감소가관찰되었다.
결론: 고도 근시를 가진 청소년기에 발견된 혈관 주위 내망막층 결손을 10년간 지켜본 결과 혈관 주위 내망막층 결손 부위 주위로녹내장이 진행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혈관 주위 내망막층 결손이 있는 고도 근시안의 녹내장 평가 시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glaucoma progression in highly myopic eyes with paravascular inner retinal defects.
Case summ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defects with cleavage-like irregular margins and internal areas were found around the retinal vessels in highly myopic eyes of a 17-year-old female. On suspicion of paravascular inner retinal defect (PIRD) instead of glaucomatous RNFL defect, observation without treatment was recommended. After 10 years of follow-up, RNFL defects and neuroretinal rim thinning were found around the pre-existing PIRD on fundus photograph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lso revealed decreased RNFL thickness.
Conclusions: Glaucomatous changes progressed around the pre-existing PIRD area over the 10-year follow-up. This indicates the need for caution when assessing glaucoma in highly myopic eyes with PIR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2.63.8.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