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동맥류로 인한 압박시신경병증과 함께 시신경척수염이 동반된 1예
목적: 내경동맥류로 인한 압박시신경병증과 함께 시신경척수염이 동반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8세 여자 환자가 이틀 전부터 갑자기 우안 하부 시야가 뿌옇게 보여 내원하였다. 안구 통증은 없었으며 교정시력은 우안0.7이었고, 우안의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시야검사에서 우안의 하측 수평시야결손을 보였고 색각검사는 양안에서 정상이었지만 5일 뒤에는 우안에서 색각이상이 관찰되었다. 혈액검사 상 항aquaporin-4 항체 양성 소견과 안와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안의시신경 조영증강이 보여 시신경척수염으로 진단하였고 고용량...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22, 63(7), , pp.648-652 |
---|---|
Hauptverfasser: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내경동맥류로 인한 압박시신경병증과 함께 시신경척수염이 동반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8세 여자 환자가 이틀 전부터 갑자기 우안 하부 시야가 뿌옇게 보여 내원하였다. 안구 통증은 없었으며 교정시력은 우안0.7이었고, 우안의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시야검사에서 우안의 하측 수평시야결손을 보였고 색각검사는 양안에서 정상이었지만 5일 뒤에는 우안에서 색각이상이 관찰되었다. 혈액검사 상 항aquaporin-4 항체 양성 소견과 안와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안의시신경 조영증강이 보여 시신경척수염으로 진단하였고 고용량 스테로이드 정맥 주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뇌 자기공명혈관영상에서 우측 내경동맥류의 안동맥분절에서 5 mm 크기의 동맥류로 인한 시신경 압박이 관찰되어 코일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스테로이드 치료4일째 및 술 후 1일째 우안 교정시력은 1.0으로 호전되었고 3주 후 색각은 정상이었으며, 6주째에는 시야의 완전한 회복을 보였다.
결론: 압박시신경병증과 시신경척수염이 함께 발병한 드문 증례에서 조기의 적극적인 치료를 통하여 시력 및 시야의 완전 회복을경험할 수 있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ompressive optic neuropathy caused by an internal carotid artery aneurysm accompanied by concurrent neuromyelitis optica (NMO).
Case summary: A 48-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sudden painless blurry vision in the inferior visual field of her right eye for 2 days. The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7 in the right eye, and a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was observed. The visual field test demonstrated an inferior altitudinal defect in the right eye, while the color vision test was normal. However, after 5 days, she developed decreased color vision. Optic nerve enhancement in the right eye was observed on orbit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anti-aquaporin-4 antibody was positive. She was diagnosed with NMO, and high-dose steroids were administered intravenously. In addition, brai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showed a 5-mm aneurysm in the ophthalmic segment of the right internal carotid artery, which was compressing the optic nerve. Coil embolization of the aneurysm was performed. On the fourth day of steroid therapy and the first day after coiling, the corrected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improved to 1.0. At 6-week follow-up, color vision and visual field defect also showed complete recovery.
Conclusions: In this rare case of internal carotid artery aneurysm combined with NMO, early active treatment led to complete recovery of visual acuity and field defec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2.63.7.6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