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색 인공수정체렌즈안과 광변색 인공수정체안에서의 수술 전후 스트레이라이트의 비교

목적: 무색 인공수정체안과 광변색 인공수정체 안의 수술 전 후 박명시에서의 시력 및 스트레이라이트를 비교하여 실내에서 또는 야간에 광변색 인공수정체안의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무색 인공수정체(Akreos AO MI60)를 삽입한 72명 95안(A군), 광변색 인공수정체(Matrix Aurium No.404)를 삽입한 16명22안(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에 대하여 술 전, 술 후 1개월째의 최대교정시력, 술 전, 술 후 1개월 및 2개월째의 스트레이라이트를 비교하였다. 안구 내 스트레이라이...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02, Vol.55 (2), p.190-195
Hauptverfasser: 김인혁, In Hyuk Kim, 황형빈, Hyung Bin Hwang, 신승주, Seung Joo Shin, 정성근, Sung Kun Ch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무색 인공수정체안과 광변색 인공수정체 안의 수술 전 후 박명시에서의 시력 및 스트레이라이트를 비교하여 실내에서 또는 야간에 광변색 인공수정체안의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무색 인공수정체(Akreos AO MI60)를 삽입한 72명 95안(A군), 광변색 인공수정체(Matrix Aurium No.404)를 삽입한 16명22안(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에 대하여 술 전, 술 후 1개월째의 최대교정시력, 술 전, 술 후 1개월 및 2개월째의 스트레이라이트를 비교하였다. 안구 내 스트레이라이트 측정은 C-quant (Oculus GmbH, Wetzlar, Germany)를 이용하였다. 결과: 박명시에서 측정한 술 후 최대교정시력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87). A군 및 B군에서 스트레이라이트값은 각각 술 전 2.76 ± 1.89 log (s), 2.88 ± 2.04 log (s), 술 후 1개월 1.39 ± 0.84 log (s), 1.32 ± 0.26 log (s), 술 후 2개월1.43 ± 0.92 log (s), 1.45 ± 0.50 log (s)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88, 0.709, 0.929). 반복측정자료 분석 결과에서도 시간에 따른 스트레이라이트 변화 양상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박명시에서 광변색 인공수정체안과 무색 인공수정체 안의 시력 및 스트레이라이트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어두운 조도에서 장시간을 보내는 백내장 환자들에게 광변색 인공수정체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Purpose: To compare visual acuity and intraocular straylight after implantation of clear and photochromic intraocular lenses (IOLs) in a mesopic lighting condition. Methods: Clear IOLs were implanted in 95 eyes of 72 patients (clear IOL group), and photochromic IOLs were implanted in 22 eyes of 16 patients (photochromic IOL group).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measured indoors before surgery and 1 month after surgery. Straylight values were measured indoors before surgery and 1 and 2 months after surgery using the C-quant straylight meter (Oculus GmbH, Wetzlar, German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in BCVA at 1 month postoperatively (p = 0.587). Mean straylight values of clear and photochromic IOL groups were 2.76 ± 1.89 log (s) and 2.88 ± 2.04 log (s) preoperatively, 1.39 ± 0.84 log (s) and 1.32 ± 0.26 log (s) at 1 month postoperatively, and 1.43 ± 0.92 log (s) and 1.45 ± 0.50 log (s) at 2 months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in indoor straylight values (p = 0.778, 0.709, 0.929, before surgery, 1 and 2 months after surgery respectively). Repeated-measure analysis of straylight values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p > 0.05).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CVA and straylight values between clear and photochromic IOL groups under a mesopic light condition. Therefore, photochromic IOL could be suitable choice for cataract patients who spend significant time under mesopic conditions.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