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진행하는 망막하 농양을 동반한 내인성 세균성 안내염
목적: 빠르게 크기가 증가하여 황반부를 침범하는 망막하 농양을 동반한 내인성 세균성 안내염을 조기 유리체절제술로 치료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간경화 및 간암, 당뇨 진단하 당뇨병성 망막병증 검진을 위해 정기적인 안저검사 시행 중이던 42세 남자환자가 좌안의 시력 저하, 안구통, 두통을 주소로 안과에 내원하였다. 안저검사에서 좌안 상이측에 약 5 유두직경 크기의 망막하 농양과 망막 출혈을 보여 내인성 세균성 안내염 의증하에 경험적 항생제 점안 치료와 정주 치료를 시작하였고, 유리체강내 vancomycin, ceftazi...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3-11, Vol.54 (11), p.1794-1799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빠르게 크기가 증가하여 황반부를 침범하는 망막하 농양을 동반한 내인성 세균성 안내염을 조기 유리체절제술로 치료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간경화 및 간암, 당뇨 진단하 당뇨병성 망막병증 검진을 위해 정기적인 안저검사 시행 중이던 42세 남자환자가 좌안의 시력 저하, 안구통, 두통을 주소로 안과에 내원하였다. 안저검사에서 좌안 상이측에 약 5 유두직경 크기의 망막하 농양과 망막 출혈을 보여 내인성 세균성 안내염 의증하에 경험적 항생제 점안 치료와 정주 치료를 시작하였고, 유리체강내 vancomycin, ceftazidime 주입술을 시행하였다. 24시간 후 호전을 보이지 않으며 병변이 황반부를 침범하며 약 10 유두직경 크기로 크기가 증가하였다. 좌안 평면부 유리체 절제술 및 유리체액, 적출물 배양 검사, 유리체강내 항생제 주입술을 시행하였고 혈액검사에서 MRSA가 배양되었다. 수술 6주 후 환자의 증상 및 시력은 호전되었고 잔존 병변은 제거되었으며 반흔화된 소견을 보였다. 결론: 망막하농양이 동반된 안내염 환자의 경우 망막하농양의 황반부 침범여부와 진행 속도 등이 치료의 시기와 방법의 결정에 중요하므로 진행정도를 주의깊게 지켜봐야 하며, 빠르게 진행하는 본 예와 같은 환자의 경우 조기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시력과 황반부 망막 구조 보존 등의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 rapidly progressive endogenous endophthalmitis with subretinal abscess that involved the macula and was treated with early vitrectomy. Case summary: A 42-year-old man with liver cirrhosis, hepatic cellular carcinoma and diabetes, who underwent regular fundus checkup for diabetic retinopathy presented with reduced vision, ocular pain in the left eye and headache. Indirect ophthalmoscopy showed subretinal abscess approximately five times the optic disc size and surrounding retinal hemorrhage in the nasal upper quadrant. A provisional diagnosis of bacterial endophthalmitis was made based on systemic disease and funduscopic findings. Treatment with topical and systemic empirical antibiotics was initiated along with intravitreal vancomycin and ceftazidime injection. Despite the treatment, after 24 hours the abscess size increased to approximately 10 times the optic disc size and began to involve the macula. The patient underwent diagnostic and therapeutic pars plana vitrectomy as well as vitreous and abscess content cultures. MRSA was found in a blood culture test. Five days postoperatively, the patient`s vision and symptoms improved significantly and the residual lesion was cleared, with retinal scars. Conclusions: In a patient with endogenous endophthalmitis with subretinal abscess, presence of macular invasion and rate of progression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time and method of operation. In this case, early vitrectomy was a good choice to preserve macular structure and the patient`s visual acuity.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11):1794-1799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