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력-장시간 조사와 고출력-단시간 조사에 의한 역치하 레이저 광응고반의 조직학적 변화
목적: 각각 60초, 1초간 레이저를 조사하여 만든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역치하응고반의 세포자멸사의 발현 양상과 조직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색가토에 810 nm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3,000 ㎛ 직경으로 60초(LD군), 혹은 1초(SD군)간 레이저를 조사하여 역치하 광응고반을 만든 뒤 시간대별로 안구를 적출하여 H&E, toluidine blue, TUNEL 염색을 시행하고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조직의 형태학적 소견과 세포자멸사의 발현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육안적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9-03, Vol.50 (3), p.440-449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각각 60초, 1초간 레이저를 조사하여 만든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역치하응고반의 세포자멸사의 발현 양상과 조직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색가토에 810 nm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3,000 ㎛ 직경으로 60초(LD군), 혹은 1초(SD군)간 레이저를 조사하여 역치하 광응고반을 만든 뒤 시간대별로 안구를 적출하여 H&E, toluidine blue, TUNEL 염색을 시행하고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조직의 형태학적 소견과 세포자멸사의 발현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육안적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비슷한 역치하 레이저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두 군에서의 조직학적 변화나세포자멸사의 발현은 망막내층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LD군의 경우에는 6시간째 망막의 전층에서 세포자멸사가 관찰되었으며, 외과립층의 세포손상이 더 많이 일어났다. 반면 SD군에서는 망막의 세포자멸사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내측망막의 손상도 적었다. 결론: 1초의 역치하 레이저 치료가 60초간의 역치하 레이저 치료에 비해 망막색소상피 주변의 효과는 비슷하면서 망막내층의 손상은 더 줄일 수 있었으며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compare histopathological and apoptotic changes of ophthalmoscopically similar subthreshold laser burns made by a low power-long duration (LD) and a high power-short duration (SD) subthreshold laser treatment. Methods: Ophthalmoscopically invisible subthreshold laser burns with a 3.0 mm spot size were made using an 810 nm diode laser on the rabbit retina. Lasers were applied for 60 seconds in the LD group, and 1 second in the SD group. Laser power was adjusted to achieve ophthalmoscopically invisible burns just below the threshold.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t 6, 12, 24, and 72 hours, 1, 2, and 4 weeks after laser treatment. The eyes were processed for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using hematoxylin and eosin (H&E), toluidine blue, and TdT-dUTP terminal nick-end labeling (TUNEL) staining. Eyes were also processed for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Results: The changes in the retina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LD group showed abundant TUNEL positive cells in all the retinal layers at 6 hours after laser treatment, and distinct histological changes in the outer nuclear layer. Conversely, in the SD group, apoptosis did not occur and histological alteration in the outer nuclear layer was minimal. Conclusions: Subthreshold laser treatment for 1 second reduced damage of the inner retinal layer and did not result in apoptosis in the neurosensory retina while maintaining a similar effect on the RPE and its adjacent reg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3):440-449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