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신경유두안에서 각막보정주사레이저편광측정계를 이용한 망막신경섬유층 분석 및 의의
목적 : 시신경유두 소견으로 진단이 어려운 소시신경유두를 갖는 정상안압녹내장안에서 망막신경 섬유층 두께를 분석하여 녹내장의 진단에 유용한 지표들을 알아보고 녹내장의 조기 진단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신경 유두부 계측시 평균유두직경이 1.617 mm 이하인 총 63명 6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안인 37명 37안, 정상안압녹내장 환자 26명 26안에서 GDx VCC를 이용하여 망막신경 섬유층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 GDx 지표 중, TSNIT average와 Superior average, TSNIT stand...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02, Vol.48 (2), p.303-310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시신경유두 소견으로 진단이 어려운 소시신경유두를 갖는 정상안압녹내장안에서 망막신경 섬유층 두께를 분석하여 녹내장의 진단에 유용한 지표들을 알아보고 녹내장의 조기 진단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신경 유두부 계측시 평균유두직경이 1.617 mm 이하인 총 63명 6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안인 37명 37안, 정상안압녹내장 환자 26명 26안에서 GDx VCC를 이용하여 망막신경 섬유층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 GDx 지표 중, TSNIT average와 Superior average, TSNIT standard deviation, NFI, Superior ratio, Inferior ratio, Sup/Nasal, Maximum modualation, Superior maximum, Normalized superior area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NFI가 1점 증가할 때 녹내장으로 진단될 확률은 1.243배 증가하였다. 결론 : 녹내장의 진단시에 시신경유두부의 병적변화를 판단하기 어려운 소시신경유두를 갖는 환자에서 GDx VCC를 이용한 망막신경 섬유층의 두께 분석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Eyes with small optic disc may be infirm to glaucomatous damage but suitable and objective methods for monitoring glaucomatous optic nerve damage in small optic disc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analysis using scanning laser polarimetry in patients with small optic disc. Methods: 63 patients with small optic disc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Eyes with average disc diameter 1.617 mm or less which was 33 percentile by topographic scanning system in our normal population study were enrolled. There were 26 patients with normal tension glaucoma and 37 patients with normal visual fields. Each patient underwent RNFL analysis using GDx VCC. Measurements of axial length, intraocular pressure, refractive error, disc diameter and cup/disc ratio were fulfilled. Findings were compared with independent t-test between 2 groups. GDx VCC parameters were analyzed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No differences in age, axial length, intraocular pressure, refractive error and disc diameter were appa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GDx VCC parameters including TSNIT average, Superior average, TSNIT standard deviation, NFI, Superior ratio, Inferior ratio, Sup/nasal, Maximum modualation, Superior maximum and Normalized superior area (p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