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환자에서 발생한 암관련망막병증 1예

목적 : 암관련망막병증(Cancer-Associated Retinopathy)은 전신적인 암에서 발생하는 종양수반 증후군의 일종으로 저자들은 폐암 환자에서 발생한 암관련망막병증을 치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약 1년 6개월 전 폐암(소세포암)을 진단 받고 항암치료 후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던 78세 여자가 약 15일 전부터 발생한 양안의 시력저하와 시야감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교정시력은 양안 모두 안전수동이었고 구심성동공운동장애는 없었다. 세극등 현미경 검사상 경미한 양안 피질 백내장 소견을 보였으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07, Vol.47 (7), p.1171-1176
Hauptverfasser: 양선모, Sun Mo Yang, 오인경, In Kyung Oh, 오재령, Jae Ryung Oh, 허걸, Kuhl Huh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암관련망막병증(Cancer-Associated Retinopathy)은 전신적인 암에서 발생하는 종양수반 증후군의 일종으로 저자들은 폐암 환자에서 발생한 암관련망막병증을 치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약 1년 6개월 전 폐암(소세포암)을 진단 받고 항암치료 후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던 78세 여자가 약 15일 전부터 발생한 양안의 시력저하와 시야감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교정시력은 양안 모두 안전수동이었고 구심성동공운동장애는 없었다. 세극등 현미경 검사상 경미한 양안 피질 백내장 소견을 보였으나 전방과 후방의 염증소견은 보이지 않았고 안압은 정상이었다. 안저검사상 뚜렷한 혈관세약 소견을 보였으나, 유두부종, 시신경 창백과 같은 시신경 병변을 의심할 만한 특이 소견은 없었다. 결과 : 형광안저혈관조영술, 뇌자기공명영상촬영에서는 특이소견 없었으나, 망막전위도 검사상 a파와 b파의 소멸, 시유발전위 검사상 잠복기의 지연 소견을 보였으며, 부신피질 호르몬을 투여한 후 점진적인 시력회복을 보였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ancer-associated retinopathy developed in a patient with small cell lung cancer, which is a kind of paraneoplastic syndrome. Methods: A 78-year-old woman presented complaining of decreased visual acuity and visual field that had developed about 15 days previously. She was diagnosed with small cell lung cancer 1.5 years ago and underwent 3 cycles of chemotherapy. At presentation,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hand motion in both eyes and there was no afferent pupillary defect. Slit-lamp bio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no specific abnormality in the anterior segment of either eye,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normal. Posterior segment examination demonstrated remarkable arteriolar narrowing in both eyes, but there was little doubt about the presence of an optic nerve lesion such as optic disc edema or pallor. Results: Fluorescein angiography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vealed no significant abnormalities. However, electroretinograms (ERG) demonstrated marked reduction in the a and b waves. Visual evoked response was delayed for the latency period. She was treated with systemic steroid, after which her visual acuity gradually improved. J Korean Ophthalmol Soc 47(7):1171-1176, 2006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