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근시 환자에서 투명수정체적출술의 수술후 경과 관찰
목적 : 고도근시 환자에서 투명수정체적출술 시행 후 시력변화와 일상생활에서의 적응도 및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구면렌즈 대응치 10디옵터 이상의 근시 때문에 투명수정체적출술을 받은 사람 중 3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3멍 39안에 대해 술전과 술후의 상태와 만족도에 관한 설문결과 등을 알아보았다. 대상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10, 4개 윌 (3∼24개월)이었다. 결과 : 술전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는 -17.40±4.00(-11.2S∼-28.25)디옵터이며 수술의 평균 목표 굴절력은 -1.40크0....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3-05, Vol.44 (5), p.1054-1058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고도근시 환자에서 투명수정체적출술 시행 후 시력변화와 일상생활에서의 적응도 및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구면렌즈 대응치 10디옵터 이상의 근시 때문에 투명수정체적출술을 받은 사람 중 3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3멍 39안에 대해 술전과 술후의 상태와 만족도에 관한 설문결과 등을 알아보았다. 대상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10, 4개 윌 (3∼24개월)이었다.
결과 : 술전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는 -17.40±4.00(-11.2S∼-28.25)디옵터이며 수술의 평균 목표 굴절력은 -1.40크0.46(-0.3∼-2.2)디옵터였고, 술후 3개월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는 -1.64±0.96(+0.50∼-3.62)디옵터였다 술전 최대 안경교정시력과 술후 3개월째의 나안시력과의 비교에서는 2줄 이상의 감소가 4안(10.3%), 2줄 이상 증가하거나20/20을 보이는 경우가 23안(59.5%)이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후낭혼탁으로 12안(30.8%)이 3개월 내에 보였으며낭포황반부종이나 망막박리등은 보이지 않았다. 3개월째 시행한 만족도에 관한 설문에서는 일상생활에 관한 항목에서는 수술을 안받는 것이 더 나았다가 1명이었고 대부분은 만족해 하였다. 그러나 근거리시력에 관한 항목에서는 2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결론: 투멍수정체적출술은 고도근시환자에서 일상생활에는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후낭혼탁과 근거리 시력의저하등 고려할 점들이 있다
Purpose : The authors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the degree of satisfaction regarding daily activities and the quality of life after clear lens extraction in high myopes. Methods : Thirty nine eyes of 23 high myopes over minus 10 diopters underwent clear tens extraction and had minimum follow up of 3 months.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efractive statu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about surgical result were evaluate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0.4 months. (range, 3∼24 months) Results : Preoperative mean spherical equivalent and mean target refractive error were -17.40±4.OOD (range,-11.25∼-28.25D) and -1.401±0.46D (range, -0.3∼-2.2D), respectively. Three months postoperatively, mean spherical equivalent was -1.64±0.96D (range, +0.5∼-3.62 D). Three months postoperatively uncorrected visual acuity was compared with preoperative best spectacle corrected visual acuity. Visual acuity was decreased two lines or more in 4 eyes (10.3%) and in 23 eyes (59.9%) 20/20 was noted or visual acuity increased 2 lines or more.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PCO) was noted in 12 eyes (30.8 %) and was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 within 3 months. Three months postoperatively, every Patient was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of surgery. All except one patient were satisfied with their daily activities after surgery. and all patients except two complained of difficulty in near vision. Conclusions: The clear lens extraction can improve quality of life in extremely high myopes, but posterior capsular opacity and decreased near visual acuity should be considered in deciding surgery.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