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를 이용한 맥락막혈관신생의 진단 및 분류

목적: 본 연구는 OCT (Optical Caherence Tomography)를 이용하여 맥락막 혈관신생을 진단하고 분류하였으며 플로레신 형광안저촬영 및 인도시아닌그린 안저혈관촬영과 비교함으로써 OCT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맥락막 혈관신생으로 진단된 20명, 2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OCT 소견을 플로레신 형광안저촬영, 인도시아닌 그린 안저혈관촬영과 비교하였다. 결과: 총 20안중 플로레신 형광안저촬영에서 6안(30%)이 전형 맥락막 혈관신생으로 관찰되었는데, 이중 인도시아닌 안저혈관촬영에서는 5안...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2-12, Vol.43 (12), p.2439-2446
Hauptverfasser: 고봉성, Bong Sung Ko, 고형준, Hyung Jun Koh, 이성철, Sung Chul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본 연구는 OCT (Optical Caherence Tomography)를 이용하여 맥락막 혈관신생을 진단하고 분류하였으며 플로레신 형광안저촬영 및 인도시아닌그린 안저혈관촬영과 비교함으로써 OCT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맥락막 혈관신생으로 진단된 20명, 2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OCT 소견을 플로레신 형광안저촬영, 인도시아닌 그린 안저혈관촬영과 비교하였다. 결과: 총 20안중 플로레신 형광안저촬영에서 6안(30%)이 전형 맥락막 혈관신생으로 관찰되었는데, 이중 인도시아닌 안저혈관촬영에서는 5안이, OCT에서는 섬유혈관성 망막색소상피박리로 진단된 1안을 포함하여 6안 모두에서 경계가 분명한 맥락막혈관신생으로 관찰되었다. 플로레신 형광안저촬영에서 잠복 맥락막 혈관신생으로 관찰된 13안(65%)중 인도시아닌그린 안저혈관촬영에서는 6안에서 경계가 분명한 병변으로 관찰되었고, OCT에서는 7안이 경계가 분명한 맥락막 혈관신생으로 관찰되었다. 플로레신 형광안저촬영에서 신생혈관막으로 진단되었던 20안중 3안은 OCT에서 신생혈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었다. OCT는 신생혈관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하는데 유용하였다. 결론: OCT를 이용하여 맥락막 혈관신생을 형태학적으로 구분하였으며 OCT는 맥락막 혈관신생의 진단과 치료에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다. Purpose: The author used optical coherece tomography (OCT) in th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his imaging technique for better defining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Method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as performed on 20 eyes of 20 patients with the clinical diagnosis of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ts risult was compered with fluorescein angiography and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Results: Of the 20 eyes, 6 eyes (30%) were identified as classic choroidal neovascularzation on fluorescein angiography. Of the 6 eyes, 5 cases were identified as well-demarcated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on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ne case was identified as fibrovascular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phy. Of the 13 eyes identified as occult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on fluorescein angiography, 6 eyes were identified as well-demarcated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on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and 7 eyes were identified as well-demarcated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f the 20 eyes identified as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on fluorescein angiography, 3 eyes were missed as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as useful to identify the position and the size of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onclusions: OCT was able to distinguish the cross-sectional morphology of various lesions accompanying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OCT may have potential in diagnosing and managing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