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모세포 성장인자가 다공성 폴리에틸렌 안와충전물(Medpor(R))의 혈관화에 미치는 영향

목적: 혈관생성인자 중의 하나인 섬유모세포 성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가 안와내 충전물로 사용되는 다공성 폴리에틸렌 안와충전물(porous polyethylene orbital implant, Medpor^?)의 혈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뉴질랜드 백색 토끼 18마리의 단안을 안구내용제거술로 제거한 후 9안은 섬유모세포 성장인자(25 ng/ml)로 처치한 Medpor^?를, 그리고 9안은 섬유모세포 성장인자로 처치하지 않은 Medpor^?를 삽입하였다. 두 군에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2-11, Vol.43 (11), p.2258-2264
Hauptverfasser: 김경락, Kyung Rak Kim, 정천석, Chun Suk Jung, 정성근, Sung Kun Ch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혈관생성인자 중의 하나인 섬유모세포 성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가 안와내 충전물로 사용되는 다공성 폴리에틸렌 안와충전물(porous polyethylene orbital implant, Medpor^?)의 혈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뉴질랜드 백색 토끼 18마리의 단안을 안구내용제거술로 제거한 후 9안은 섬유모세포 성장인자(25 ng/ml)로 처치한 Medpor^?를, 그리고 9안은 섬유모세포 성장인자로 처치하지 않은 Medpor^?를 삽입하였다. 두 군에서 술 후 1, 2, 4주 째 각각 세 마리에서 삽입한 Medpor^?를 적출하여 적도부의에서 절단 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과 Masson`s trichrome염색을 하였다. 섬유혈관화의 정도는 바깥쪽 경계부위에서 자라 들어온 거리에 따라 구역1(1.5mm 이하), 구역2(1.6∼3.0 mm), 구역3(3.1∼4.5 mm)및 구역4(4.6 mm 이상)로 분류하여 혈관화가 된 면적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술 후 1주와 2주 째 적출한 Medpor^?의 혈관화는 섬유모세포 성장인자로 처치하지 않은 군은 각각 56.25%와 68.75%였고, 처치한 군은 각각 75%와 80.56% 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술 후 4주 째 적출한 안구의 혈관화는 섬유모세포 성장인자로 처치하지 않은 군은 66.25%였고, 처치한 군에서 84.5%로, 섬유모세포 성장인자를 사용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높았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로 섬유모세포 성장인자는 다공성 폴리에틸렌 안와충전물의 섬유혈관증식을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on the vascularization rate of Medpor^?, a synthetic polyethylene orbital implant. Methods: Medpor^?, preterated of untreated with bFGF (25 ng/ml), was inserted into one eye of 18 New Zealand white rabbits and removed at 1,2 and 4 weeds after implantation, and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and Masson`s trichrome. Degree of vascularization was classified into zone 1(≤1.5 mm ingrowth), zone 2(1.6∼3.0 mm ingrowth), zone 3(3.1∼4.5 mm ingrowth), and zone 4(≥4.6 mm ingrowth). Results: One and two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percentage of the vascularization area were 56.25% and 68.75% in bFGF-untreated group, while those of bGFG-untreated and treated group. However, four weeks after implanation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FGF-treated group (84.38%) than tin bFGF-untreated group (66.25%)(P<0.05) Conclusions: BFGF enhanced more and early fibrovascular ingrowth of Medpor^?.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