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의 안압과 각막 직경
미숙아에서 안압의 범위 및 안압과 각막 직경 사이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재태기간 37주 이하의 미숙아 61명을 대상으로 안압 및 각막직경과 재태기간 및 출생체중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점안 마취후 Tonopen Ⅱ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고 측경기로 각막 직경을 측정하였다.미숙아망막 병증의 위험인자가 있는 환아에 대해서는 미숙아망막병증 여부에 대한 안저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아의 평균 재태기간은 30.2주(26~37주)였고 평균 출생체중은 1419 g(677~3691 g)이었다. 산소치료를 받은 환아는 35명이었고 미숙아망막병증...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0-09, Vol.41 (9), p.1953-1959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미숙아에서 안압의 범위 및 안압과 각막 직경 사이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재태기간 37주 이하의 미숙아 61명을 대상으로 안압 및 각막직경과 재태기간 및 출생체중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점안 마취후 Tonopen Ⅱ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고 측경기로 각막 직경을 측정하였다.미숙아망막 병증의 위험인자가 있는 환아에 대해서는 미숙아망막병증 여부에 대한 안저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아의 평균 재태기간은 30.2주(26~37주)였고 평균 출생체중은 1419 g(677~3691 g)이었다. 산소치료를 받은 환아는 35명이었고 미숙아망막병증이 있는 환아는 11명이었다. 안압은 10.8±2.3 mmHg(평균 ±표준편차, 이하 모두 동일)였고, 평균 각막 직경은 8.8±0.5 mm였다. 재태기간이나 출생체중에 따른 안압 및 각막 직경의 차이는 없었으며, 안압과 각막직경과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미숙아망막병증 유무는 안압과 각막 직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재태기간 26~37주 사이의 미숙아에서 성장에 의한 변화는 안압과 각막 직경에 영향을 주지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조사된 측정치가 향후 미숙아에서의 안압과 각막 직경을 평가하는데 기준치로서 도움이 될 것이다(한안지 41:1953~1959,2000).
Premature infants may have underdevelopment of multiple organs including ocular structures. Sixty one premature infants of thirty seven weeks-old or younger were examed to note the correl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and corneal diameter with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Following topical anesthesia, intraocular pressure was measured with Tonopen Ⅱ tonometer and the corneal diameter with caliper. The fundus was examed for the presence of risk factors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Average gestational age of the subjects was 30.2 weeks(26~37 weeks), and birth weight was 1419 g(677~3691 g). Thirty five subjects had experienced oxygen therapy, and eleven patients were found to have any stag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Average intraocular pressure was 10.8±2.3 mmHg(mean ±standard deviation), corneal diameter was 8.8±0.5 mm.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intraocular pressure or corneal diameter and gestational age or birth weight. The presenc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did not seem to influence the intraocular pressure and corneal diameter.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growth in uterus did not seem to affect intraocular pressure or corneal diameter in gestational age of 26 to 37 weeks. These normative values may aid ophthalmologists in assesing intraocular pressure and corneal diameter in premature infants(J Korean Ophthalmol Soc 41:1953~1959,2000).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