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선 기능이상의 평가와 이에 따른 눈물막 파괴검사 및 Schirmer Test 의 결과비교

1999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 안과에 내원한 환자 75명 150안을 대상으로 마이봄선 촬영술 및 압박배출술을 시행하여 마이봄선 개구부폐쇄가 있는 1군, 마이봄선 파괴가 있는 2군,위의 두 가지가 복합되어 있는 3군, 정상인 4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에서 눈물막 파괴검사, Schirmer test, 환자의 증상을 서로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눈물막 파괴검사는 1,2,3,4군에서 각각 평균 8.20±2.6, 7.70±2.12, 6.22±2.07, 14.56±2.55초이었고,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개수는 2.10 ±1.0...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0-09, Vol.41 (9), p.1875-1882
Hauptverfasser: 조재학, Jae Hak Cho, 안영, Young Ah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1999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 안과에 내원한 환자 75명 150안을 대상으로 마이봄선 촬영술 및 압박배출술을 시행하여 마이봄선 개구부폐쇄가 있는 1군, 마이봄선 파괴가 있는 2군,위의 두 가지가 복합되어 있는 3군, 정상인 4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에서 눈물막 파괴검사, Schirmer test, 환자의 증상을 서로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눈물막 파괴검사는 1,2,3,4군에서 각각 평균 8.20±2.6, 7.70±2.12, 6.22±2.07, 14.56±2.55초이었고,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개수는 2.10 ±1.06, 2.33 ±0.97, 2.92 ±0.77, 0.72 ±0.71개로 나타났으며, 서로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Schirmer test에서는 각각 14.75±3.86, 15.57±4.43, 18.13±4.05, 17.27±4.21 mm로 나타났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마이봄선 기능이상이 눈물막 파괴검사의 결과치를 낮게 하고, 환자로 하여금 건성안의 증상을 느끼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저자들은 외래에서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마이봄선 촬영술과 마이봄선 압박배출이 마이봄선 기능이상의 정도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좋은 검사라고 생각되며, 건성안 환자에게 이 검사를 시행하여 마이봄선 기능이상을 평가하는 것이 원인 및 치료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한안지 41:1875~1882,2000). We analyzed 75 patients(150 eyes) who visited our hospital from April to August 1999,and divided into 4 groups by using meibography and meibomian expression; meibomian gland orifice obstruction group(group 1), meibomian gland destruction group(group 2), meibomian gland destruction and meibomian gland orifice obstruction group(group 3), normal control group(group 4). We performed BUT and Schirmer test, and asked symptoms of dry eye in each group. The mean BUT was 8.20±2.16 sec,7.70±2.12 sec, 6.22±2.07 sec, and 14.56±2.55 sec in group 1, 2, 3, and 4 respectively and the mean number of symptoms of dry eye was 2.10 ±1.06, 2.33±0.97, 2.92±0.77, and 0.72±0.71.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mean result of Schirmer test was 14.75±3.86 mm, 15.57±4.43 mm, 18.13±4.05 mm, and 17.27±4.21 mm in group 1, 2, 3, and 4 respectively but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ibomian gland dysfunction decreases the BUT results and discomforts patients with dry eye symptom . Thus, we expect that meibography and meibomian expression technique which areeasily used at out-patient department are relatively objective and helpful methods to evaluate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it would be helpful to perform these examinations in patient with dry eye to detect the causative factor and perform the proper treatment of this disease(J Korean Ophthalmol Soc 41:1875~1882,2000).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