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근시 환자에서 안내후방콘택트렌즈 (ICLTM.Implantable Contact Lens)삽입술의 임상성적
저자들은 구면렌즈 대응치(spherical equivalent)의 범위가 -11D에서 -21.13D까지인 고도근시 환자 7명 12안에서 안내후방콘택트렌즈(ICLT M:STAAR Collamer Posterior chamber Implantable Contact Lens)를 삽입하고 술 후 평균 28.1개월간 시력, 굴절력의 변화, 각막내피세포감소율, 합병증 등을 알아보았다. 시력변화는 12안 모두에서 수술 직후부터 나안시력이 향상되었음은 물론, 12안 중 7안(58.3%)에서 최대교정시력의 향상이 관찰되었다. 평균 각막내피세포의 소...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0-07, Vol.41 (7), p.1515-1522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저자들은 구면렌즈 대응치(spherical equivalent)의 범위가 -11D에서 -21.13D까지인 고도근시 환자 7명 12안에서 안내후방콘택트렌즈(ICLT M:STAAR Collamer Posterior chamber Implantable Contact Lens)를 삽입하고 술 후 평균 28.1개월간 시력, 굴절력의 변화, 각막내피세포감소율, 합병증 등을 알아보았다. 시력변화는 12안 모두에서 수술 직후부터 나안시력이 향상되었음은 물론, 12안 중 7안(58.3%)에서 최대교정시력의 향상이 관찰되었다. 평균 각막내피세포의 소율은 술 후 24개월에 3.22±0.05%였다. 술 전 구면렌즈 대응치의 평균은 -15.65±2.78 D였으나 술 후 1개월째-1.67±0.72 D, 6개월째 -1.56±0.72 D, 12개월째 -1.63±0.68 D, 술 후 24개월째 -1.73 ±0.76 D로 나타났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1안에서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미한 수정체 전낭하혼탁이 술 후 1개월째 관찰되었으나 술 후 26개월이 지난 현재 진행하지 않고 있으며, 1안에서 일시적 안압상승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안내후방콘택트렌즈 삽입술은 LASIK을 적용키 곤란한 고도근시 환자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굴절교정술중 한 방법이란 사실을 알 수 있었다(한안지 41:1515~1522,2000).
lents ranging from -11 D to -21.3 D. And then we investigated the visual acuity, mean endothelial cell loss, change of refractive error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verage follow-up was 28.1 months.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days, all eyes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uncorrected visual acuity and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improved in 7 eyes(58.3%). Mean percent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endothelial cell count was 3.22 ±0.05%. The mean pre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was -15.65 ±2.78 D. At a mean follow-up of 1 month, mean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was -1.67 ±0.72 D, at a 6months, 12 months, 24 months, mean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was each -1.56 ±0.72 D,-1.63 ±0.68 D,-1.73 ±0.76 D. During follow-up days one eye developed an faint anterior subcapsular cataract but the patient remained symptom free. Other reported complication was transient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Although the follow-up in our study was limited cases(12 eyes), from our experience, the posterior chamber implantable contact lens was efficacious and safe in the correction of high myopic refraction errors(J korean Ophthalmol Soc 41:1515~1522,2000).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