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광응고술 후 가토 안구내 Transforming Growth Factor - β2 의 농도에 관한 연구
증식당뇨망막병증,중심 및 분지망막정맥폐쇄와 같은 허혈성 망막질환에서 레이저 광응고술은 신생혈관의 퇴행을 유발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기전으로 신생혈관 억제인자인 TGF-β2가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응고술은 섬유화를 유발하여 견인망막박리를 유발할 수 있는데,섬유화의 인자 역시 TGF-β2의 역할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섬유화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적정한 정도의 레이저 광응고술의 범위를 찾고자 실험을 시행하였다. 유색 가토에서 경평면부 유리체절제술과 레이저 광응고술을 전체 망막의 1/8,1/4,1/2 범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0-02, Vol.41 (2), p.383-391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증식당뇨망막병증,중심 및 분지망막정맥폐쇄와 같은 허혈성 망막질환에서 레이저 광응고술은 신생혈관의 퇴행을 유발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기전으로 신생혈관 억제인자인 TGF-β2가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응고술은 섬유화를 유발하여 견인망막박리를 유발할 수 있는데,섬유화의 인자 역시 TGF-β2의 역할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섬유화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적정한 정도의 레이저 광응고술의 범위를 찾고자 실험을 시행하였다. 유색 가토에서 경평면부 유리체절제술과 레이저 광응고술을 전체 망막의 1/8,1/4,1/2 범위 에 시행하고 각각 12,24,72시간 후 적출하여 TGF-β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그리고 결막하섬유세포에 TGF-β2(0.1,1,10ng/㎖의 농도)를 처리한 후 증식 반응이 유발되는지 관찰하였다.결과는 다음과 같다. 1.결막하 섬유세포에 TGF-β20.1,1,10ng/㎖의 농도를 가한 결과 0.1 ng/㎖의 농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1,10ng/㎖의 농도에서는 증식 반응이 유발되었다. 2.레이저 광응고술을 망막의 1/8,1/4,1/2 범위에 시술하고 1 2시간 후 유리체강 내의 TGF-β2의 농도는 각기 0.02,0.3,1.0ng/㎖이었다. 24,72시간에서는 의의있게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 미루어 볼 때 섬유화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레이저 광응고술의 적절한 범위는 안저의 1/8 정도로 추정된다 (한안지41:383~391,2000).
Laser photocoagulation is commonly used for the treatment of retinal neo-vascularization in ischemic retinal diseases. Transforming growth factor-β2 is known to be produced by RPE cells after laser photocoagulation and to be related to both regression of neovascularization and acceleration of preretinal fibrosis. In this study, we investgated the safe extent of laser photocoagulation not promoting the fibrosis by measuring intravitreal TGF-β2 released following treatment. In gray rabbit eyes, trans pars plana vitrectomies and laser Photocoagulations(1/8,1/4,1/2 of the fundus)were performed. The each eyeball was enucleated and TGF-β2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12,24,72 hours after laser photocoagulation. And fibrotic activity was observed by the subconjunctival injection of fibrocyte and TGF-β2 (0.1,1,10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When TGF-β2 was injected subconjunctivally along with fibrocytes, fibrocytic activity was observed found at the concentration of 1 or 10ng/㎖of TGF-β2. 2. The intravitreal concentration of TGF-β2 after laser photocoagulation to the 1/8,1/4,1/2 of fundus area were 0.05,0.1,0.2ng/㎖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o treat limit the area of laser photo-coagulation to 1/8 of fundus area in order to prevent the retinal fibrosis(JKorean Ophthalmol Soc 41:383~391,2000).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