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안압 녹내장에서의 시야결손의 진행양상
저자들은 본원 안과에 내원하여 정상안압 녹내장으로 진단받고적어도 2년 이상(평균 49개월)의 경과관찰 및 시야검사(평균 7.47회)를 시행하였던 환자 41명(76안)을 대상으로 시야결손의 진행양상을 알아보고자 후향적고찰을 시행하였고 global indices(MD, CPSD), GHT cluster의 평균 thereshold, 52 individual location의 threshold 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결론을 얻었다. 1. 시야결손이 진행된 경우는 총 76안 중 18안(23.7%)으로서 약 30% 이하에서 진행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1998-08, Vol.39 (8), p.1831-1842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저자들은 본원 안과에 내원하여 정상안압 녹내장으로 진단받고적어도 2년 이상(평균 49개월)의 경과관찰 및 시야검사(평균 7.47회)를 시행하였던 환자 41명(76안)을 대상으로 시야결손의 진행양상을 알아보고자 후향적고찰을 시행하였고 global indices(MD, CPSD), GHT cluster의 평균 thereshold, 52 individual location의 threshold 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결론을 얻었다. 1. 시야결손이 진행된 경우는 총 76안 중 18안(23.7%)으로서 약 30% 이하에서 진행되었고 5안(6.6%)에서 MD, 3안(3.9%) 에서 CPSD,12안(15.8%)에서 최소 1개 이상의 GHT cluster, 14안(18.5%)에서 최소 1개 이상의 individual location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시야결손의 진행을 보였다. 2. GHT cluster에서 의미잇는 시야결손의 진행을 보인 부위의 분포를 보면 -2dB/year 이상인 경우가 상부에서 많았고 상`하 중심부(주시부)에서 시야결손이 진행한 빈도가 높았다. individual location에서의 시야결손의 진행정도도 GHT cluster 분포에서의 양상과 유사하였다. 3. 연령, 안압, 안압의 하강정도, 사용한 약의 종류와 시야결손의 진행정도와는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론으로 정상안압 녹내장환자에서 시야결손의 진행에 대한 회귀분석은 그 진행정도를 객관화시켜 나타낼 수 있으며 장기시야변동 등에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되며 장기간의 경과관찰 기간 및 시야검사 횟수를 적절히 유지하면 녹내장성 시야결손의 진행양상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진단 및 치료에 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한안지 39:1831~1842, 1998).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field progression among 76 eyes of 4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or normal tension glaucoma,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global indices(MD, CPSD), mean thresholds of 10 GHT clusters, and thresholds of 52 individual locations. Those patients were identified who had taken seven of more threshold visual field tests over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s; 1. There were 18 eyes(23.7%) of 13 patients where MD, CPSD, one or more clusters, of one or more locations was deteriorated. Linear regression of global indices identified 5 subjects(6.6%) with significant decline in MD and 3 subjects(3.9%) with significant progression of CPSD. Twelve sujects(15.8%) had more than one
progressive GHT cluster. Fourteen subjects(18.5%) had more than one progressive individual test locations. 2. Deterioration of 2dB or more per year was found in the superior fields more frequently than inferior and there was increasing frequency of visual field progression in superior and inferior field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ndividual locations that deteriorated was similar to that of clusters.
3. Age, mean IOP, IOP reduction rate and drug used was not related to visual field progression in normal tension glaucom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inear regression is a method to detect progression and estimat the magnitude of increase in field loss objectively and has the potential to identify those persons whose trend is sufficiently strong enough to exceed the variability in the data.
It is thought that long-term follow-up a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