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강내에서 처치한 완전 후방 탈구된 수정체의 임상고찰

수정체낭의 손상없이 유리체강내로 완전히 탈구된 수정체를 평면부유리체절제술과 병행하여 유리체강내에서 완전히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공막고정한 환자를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체 14명, 14안중 남자는 12안이었고 평균 연령은 61.7세이었다. 4안은 자연발생적으로, 10안은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11안은 백내장, 5안은 유리체출혈, 5안은 고안압, 2안은 홍채이단을 동반하였다. 유병기간은 4안은 1년이상이었으며, 6안은 4주이내이었다. 14안 모두에서 평면부유리체절제술, 유리체강내 수정체제거술 및 인공수정체공막고정술을 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1998-03, Vol.39 (3), p.501-508
Hauptverfasser: 서만성, Man Seong Seo, 임선택, Sun Taek Lim, 최환준, Whan Jun Cho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수정체낭의 손상없이 유리체강내로 완전히 탈구된 수정체를 평면부유리체절제술과 병행하여 유리체강내에서 완전히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공막고정한 환자를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체 14명, 14안중 남자는 12안이었고 평균 연령은 61.7세이었다. 4안은 자연발생적으로, 10안은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11안은 백내장, 5안은 유리체출혈, 5안은 고안압, 2안은 홍채이단을 동반하였다. 유병기간은 4안은 1년이상이었으며, 6안은 4주이내이었다. 14안 모두에서 평면부유리체절제술, 유리체강내 수정체제거술 및 인공수정체공막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2안은 섬유주절제술, 1안은 홍채성형술, 2안은 냉동망막유착술 및 sulfur hexafluoride 안내 가스주입술을 병행하였다. 1안은 유리체절제기만을 이용하였고 13안은 초음파분쇄기를 이용하였으며, 5안은 과불화탄소액을 사용하였다. 술후 일시적인 2안의 안압상승(25mmHg이상)과 2안의 저안압(10mmHg이하)이 있었고 1안의 인공수정체 동공포획이 있었으며, 추적관찰기간은 평균 7.42개월이었다. 최종검사시 시력은 11안에서 0.5이상이었고 1안은 시신경위축으로 안전수동이었으며, 합병증으로 망막박리는 없었으나 1안은 안압상승이 지속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평면부유리체절제술과 병행하여 후방탈구된 수정체의 유리체강내에서의 제거술은 시도해 볼만한 수술방법이라 하겠다(한안지 39:501~508, 1998).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intravitreally removing the crystalline lens completely dislocated into the vitreous cavity with intact capsule, we reviewed the patients undergone pars plana vitrectomy for the treatment of intravitreal crystalline lens. The crystalline lenses were spontaneously dislocated in 4 and traumatically dislocated in 10 of all 14 eyes. Combined ocular conditions were 10 eyes of cataract, 5 of vitreous hemorrhage, 5 of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2 of iridodialysis. All 14 eyes had undergone pars plana vitrectomy, intravitreal removal of the crystalline lens and scleral fix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whereas 3 had undergone trabeculectomy, 2 retinal cryopexy and injection of sulfur hexafluoride intraocular gas, and 1 iridoplasty. The lens was aspirated only with vitrectomy cutter in 1 eye; phacofragmentor was used in 13 eyes and perfluorocarbone liquid was injected in 5 eyes. Mean follow-up time was 7.42 months. On the last follow-up, visual acuity was 0.5 or better in 11 eyes and counting fingers in 1 eye with optic nerve atrophy. Retinal detachment was never found, and increased IOP sustained in 1 eye. The result suggests intravitreal removal of the crystalline lens combined with pars plana vitrectomy seems effective and safe(J Korean Ophthalmol Soc 39:501~508, 1998).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