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주에서의 실험적 삼출망막박리

삼출망막박리의 발생기전을 알기 위한 동물모델로서 흰쥐가 사용 가능한지와 흰쥐에서의 삼출망막박리 발생에서 망막혈관의 역할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흰쥐를 대상으로 rose bengal광감작 색소를 혈관내에 주사한 후 일정한 세기의 레이저 조사를 하여 광화학적 소상을 일으켰다. 흰쥐를 6군으로 나누어 A군(10안)에서는 시신경유두 주위의 모든 망막정맥 사이를 선상으로 레이저 조사하였고, B군(12안)에서는 시신경유두 주위의 모든 망막정맥을 조사하였으며, C군 (4안)에서는 시신경유두 주위의 모든 망막동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조군인 D...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1998-02, Vol.39 (2), p.309-317
Hauptverfasser: 함돈일, Don Il Ham, 김성중, Seong Jun Kim, 박석준, Seok Joon Park, 정 흠, Hum Chung, 이재흥, Jaeheung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삼출망막박리의 발생기전을 알기 위한 동물모델로서 흰쥐가 사용 가능한지와 흰쥐에서의 삼출망막박리 발생에서 망막혈관의 역할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흰쥐를 대상으로 rose bengal광감작 색소를 혈관내에 주사한 후 일정한 세기의 레이저 조사를 하여 광화학적 소상을 일으켰다. 흰쥐를 6군으로 나누어 A군(10안)에서는 시신경유두 주위의 모든 망막정맥 사이를 선상으로 레이저 조사하였고, B군(12안)에서는 시신경유두 주위의 모든 망막정맥을 조사하였으며, C군 (4안)에서는 시신경유두 주위의 모든 망막동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조군인 D군(3안)에서는 rose bengal을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조사만을 모두 망막정맥에 하였고, 역시 대조군인 E군 (26안)은 A, B, C군의 실험안의 반대편 눈으로 레이저 조사없이 rose bengal만을 주사했다. F군(3안)은 정상대조군으로 아무 조작없이 조직검사를 시행했다. 경과관찰 기간중 검안경과 세극등검사를 한 결과, A군과 C군 그리고 대조군에서는 망막박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B군에서는 12안 모두에서 삼출망막박리가 발생하였다. 또, 모든 눈을 조직검사하여 B군에서만 삼출망막박리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에서 삼출망막박리를 재현성 있게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흰쥐에서는 망막정맥의 혈류이상이 실험적 삼출망막박리 발생의 필요한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한안지39:309~317, 1998). To establish animal model of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in Sprague Dawley albino rats and to elucidate the possible role of retinal vein in the induction of exudative retinal detachments, rose bengal photosensitive dye was injected intravenously and argon laser was applied. In group A(10eyes), laser was applied on intervascular retinal areas linearly. In group B (12 eyes), laser was applied on major retinal veins. In group C(4 eyes), laser was applied on major retinal arteris. In group D(3 eyes), laser was applied on major retinal veins without rose bengal dye and in group E(26eyes), only the rose bengal dye was perfused. And in group F(3 eyes), normal eyes were fixed for negative controls. Exudative bullous retinal detachment occurred only in group B and these resutls were confirmed in histological examinations. In control groups (Dand E), tissue injuries were not found. In conclusion,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could be induced by occlusion of retinal veins in albino rats and the abnormalities of retinal venous blood flow were required for the induction of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J Korean Ophthalmol Soc 39:309~317, 1998).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