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강내 누낭비강문합술의 수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바강을 통한 누낭비강문합술은 피부절개를 토한 방법보다 피부반흔이 없으며 짧은 수술 시간 등의 장점을 가진 반면 수술 성공률이 낮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누도폐쇄로 진단받고 비강내 누낭비강문합술을 시행한 뒤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07명, 107안을 대상으로 환자의 연령, 성별, 누낭의 크기, 비강내의 상태 등이 수술 성공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수술 성공률은 88안으로 82.2%였으며, 환자의 연령이 어린 경우나 남자, 그리고 누낭의 크기가 큰 경우에서 수술 성공률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1998-12, Vol.39 (12), p.2848-2853
Hauptverfasser: 박재덕, Jae Deok Park, 김영일, Young Il Kim, 신성균, Sung Gyun Shi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바강을 통한 누낭비강문합술은 피부절개를 토한 방법보다 피부반흔이 없으며 짧은 수술 시간 등의 장점을 가진 반면 수술 성공률이 낮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누도폐쇄로 진단받고 비강내 누낭비강문합술을 시행한 뒤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07명, 107안을 대상으로 환자의 연령, 성별, 누낭의 크기, 비강내의 상태 등이 수술 성공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수술 성공률은 88안으로 82.2%였으며, 환자의 연령이 어린 경우나 남자, 그리고 누낭의 크기가 큰 경우에서 수술 성공률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비중격 편위, 중비갑개의 비후, 사골부비동염, 비강내 용종 등의 비강내 이상 소견이 동반된 경우에는 점막공의 막성폐쇄, 육아종의 생성, 중비갑개와의 반흔 형성 등으로 인해 수술 성공률이 낮았으며 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