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상검안경 Diode 레이저를 사용한 가토 망막에서의 전층 광응고

미숙아망막병증의 레이저치료에 있어서, 망막의 내층을 포함하여 광응고가 되는 것이 필요하나 diode 레이저를 사용할 때 장파장인 diode 레이저로 인한 부르크막 및 맥락막의 손상을 배제할 수 없다. 저자들은 부르크막과 맥락막의 손상 없이 diode 레이저로 망막의 전층 광응고가 가능한지와 그 적절한 레이저 세기를 실험동물에서 알고자 하였다. 유색 가토의 안저에 도상검안경을 사용하여 diode 레이저 광응고술을 레이저세기(150, 300, 500㎽)와 광응고시간(0.3, 0.5, 1초)을 달리하여 시행한 즉시 안저촬영을 하고 술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1998-10, Vol.39 (10), p.2385-2392
Hauptverfasser: 전영호, Young Ho Jeon, 최우철, Woo Chul Choi, 유영석, Young Suk Yu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미숙아망막병증의 레이저치료에 있어서, 망막의 내층을 포함하여 광응고가 되는 것이 필요하나 diode 레이저를 사용할 때 장파장인 diode 레이저로 인한 부르크막 및 맥락막의 손상을 배제할 수 없다. 저자들은 부르크막과 맥락막의 손상 없이 diode 레이저로 망막의 전층 광응고가 가능한지와 그 적절한 레이저 세기를 실험동물에서 알고자 하였다. 유색 가토의 안저에 도상검안경을 사용하여 diode 레이저 광응고술을 레이저세기(150, 300, 500㎽)와 광응고시간(0.3, 0.5, 1초)을 달리하여 시행한 즉시 안저촬영을 하고 술후 1일, 1주, 3주, 5주에 안저촬영과 안구적출을 하여 망막의 병리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레이저세기 150㎽, 광응고시간 0.3초의 조건에서는 망막내층의 변화는 없이 외층의 변화만 있었다. 레이저세기 300㎽, 광응시간 0.3초의 조건에서는 부르크막의 손상 없이 망막의 전층이 광응고되었다. 300㎽, 0.5초와 500㎽, 0.3초의 조건에서는 내경계막은 유지되었으나 부르크막의 손상을 포함한 망막 전층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가토 망막에서 부르크막과 맥락막 모세혈관의 파괴없이 망막 내층을 포함란 전층을 광응고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앞으로 임상에서 레이저세기와 광응고시간을 조절하여 diode 레이저의 단점인 심부 광응고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항안지 39:2385∼2392, 1998) In the treatment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t is necessary to coagulate retina including inner retinal layer to achieve regression. However, diode laser has long wavelength, thus damage to bruch`s membrane or choroid can occur when one attempts to coagulate whole retinal layers. We evaluated whether or not we could coagulate whole retinal layer without damage to Bruch`s membrane or choroid in rabbit eyes with indirect diode laser ophthalmoscopy. We palaced laser spots on retina of pigmented rabbits with various laser powers(150, 300, 500㎽) and durations(0.3, 0.5, 1.0 second). Fundus photographs were taken immediately after photocoagulation. then we took fundus photographs and enucleated the eyes at one day, one week, 3 weeks, and 5 weeks after photocoagulation to perform pathologic examination. With laser setting of 150㎽ and 0.3 second, the coagulated retina revealed damaged outer layer but inner retinal layer was spared. We could coagulate whole retinal layer without any damage to Bruch`s membrane or choroid with laser power of 300㎽ and 0.3 second duration. In 300㎽, 0.5 second laser burns and 500㎽, 0.3 second burns, internal limiting membrane remained intact while Bruch`s membrane and whole retinal layers were damaged We found whole layer rabbit retina could be coagulated without damage to Bruch`s membrane and choriocapillaries with indirect diode laser opthalmoscopy. and we think it would be necessary to adjust laser power and duration in clinical situation to minimize possible deep tissue injury by diode laser(J Korean Ophthalmol Soc 39:2385∼2392, 1998)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