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도플러영상을 이용한 망막박리와 유리체막의 감별
안저 관찰이 불가능한 경우 간혹 초음파검사소견으로도 망막박리와 유리체막의 감별이 애매한 경우에 색도플러영상으로 2차원초음파영상에 혈류에 대한 정보까지 알 수 있으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저자들은 안저관찰이 힘든 환자 31안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초음파검사와 색도플러영상을 동시에 시행하여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수술후 결과를 확인하여 보았다. 초음파검사 및 수술로서 망막박리로 진단된 12안중 9안(75%)에서 색신호가 양성이었으나 3안에서는 음성으로 나타았다. 초음파검사 및 수술로서 유리체막으로 진단된 18안중 17안...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1997-06, Vol.38 (6), p.992-999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안저 관찰이 불가능한 경우 간혹 초음파검사소견으로도 망막박리와 유리체막의 감별이 애매한 경우에 색도플러영상으로 2차원초음파영상에 혈류에 대한 정보까지 알 수 있으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저자들은 안저관찰이 힘든 환자 31안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초음파검사와 색도플러영상을 동시에 시행하여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수술후 결과를 확인하여 보았다. 초음파검사 및 수술로서 망막박리로 진단된 12안중 9안(75%)에서 색신호가 양성이었으나 3안에서는 음성으로 나타았다. 초음파검사 및 수술로서 유리체막으로 진단된 18안중 17안(94%)에서는 색신호가 음성이었으나 증식당뇨망막병증을 가진 1안에서 색신호가 양성으로 나타났다.또한 망막박리 및 유리체막으로 진단된 30안중 7안(23%)에서는 B-scan 흑백초음파검사로 감별이 곤란하여 색도플러영상이 필요하였다. 저자들은 망막박리와 유리체막 감별의 보조수단으로서 색도플러영상은 비교적 유용한 진단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한안지 38:992~999, 1997)
In eyes with media opacity and equivocal ultrasonographic findings, we can differenciate retinal detachment from vitreous membrane using color doppler imaging(CDI), which allows the display of blood flow characteristics on conventional ultrasonography. The authors performed high resolution B-scan ultrasonography and color doppler imaging simultaneously in 31 eyes with opacity of ocular media, and their intraoperative characteristics and post operative results were evaluated. In 30 eyes with retinal detachment or vitreous membrane, 7 eyes(23%) had equivocal ultrasonographic findings and needed color doppler imaging.Nine eyes(75%) had positive color signal in 12 eyes with retinal
detachment, whereas 3 eyes negative. 17 eyes(94%) had negative color signal in 18 eyes with vitreous membrane, 1 eye with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had positive. In conclusion, color doppler imaging is a useful diagnostic method in differentiating retinal detachment from vitreous membrane(J Korean Ophthalmol Soc 38:992~999, 1997)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