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수술시 발생한 광망막손상
수술현미경이나 안내조명등에 의한 광망막손상은 기계적,열성, 광화학적 기전으로 초래된다. 저자들은 판금작업중 쇳조각이 좌안에 들어간 23세된 남자환자에서 망막내에 발견된 이물의 제거술과 평면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후, 황반부에 안내조명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는 망막색소 응집과 난원형의 황반부변성을 나타내는 광망막손상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한안지 38:2016~2019,1997). Photic retinal injuries following operating microscopic light exposure...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1997-11, Vol.38 (11), p.2016-2019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수술현미경이나 안내조명등에 의한 광망막손상은 기계적,열성, 광화학적 기전으로 초래된다. 저자들은 판금작업중 쇳조각이 좌안에 들어간 23세된 남자환자에서 망막내에 발견된 이물의 제거술과 평면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후, 황반부에 안내조명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는 망막색소 응집과 난원형의 황반부변성을 나타내는 광망막손상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한안지 38:2016~2019,1997).
Photic retinal injuries following operating microscopic light exposure or endoillumination are produced by mechanical, thermal or photochemical mechanism.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a patient who developed a round macular lesion which seemed to be a light-induced retinal damage
during pars plana vitrectomy and removal of intraretinal foreign body(J Korean Ophthalmol Soc 38:2016~2019,1997).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