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한 증식성 망막피막 ( periretinal membrane ) 의 세포구성과 면역기전 관련성의 규명
망막박리수술 실패의 흔한 원인이 되는 증식성 유리체 망막피막의 세포구성과 면역시전 관련여부를 알기 위해 1995년 4월에서 1996년 3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안과에서 평면부 유리체 정제술 중 채취된 17개의 증식성 망막피막을 이용해 H-E 및 면역조직화학염생을 시행하였다. 염색은 labeled streptavidin-biotin 결합체를 이용한 immunoperoxidase기법을 썼으며 사용된 일차항체는 항 cytokeratin,항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항 vimentin,항HLA...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1997, Vol.38 (1), p.75-85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망막박리수술 실패의 흔한 원인이 되는 증식성 유리체 망막피막의 세포구성과 면역시전 관련여부를 알기 위해 1995년 4월에서 1996년 3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안과에서 평면부 유리체 정제술 중 채취된 17개의 증식성 망막피막을 이용해 H-E 및 면역조직화학염생을 시행하였다. 염색은 labeled streptavidin-biotin 결합체를 이용한 immunoperoxidase기법을 썼으며 사용된 일차항체는 항 cytokeratin,항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항 vimentin,항HLA-DR항원,항 macrophage, 항 CD4, 항 CD8이었다. 반응정도에 따라 음성(-),약양성(+),강양성(++)으로 나타냈다. 각 항체에 대한 양성반응은 항 cytokeratin은 17개의 검체중 8개에서 약양성 이상의 반응을 보였으며 항 vimentin 은 17개중 15개, 항 GFAP는 17개중 9개,항 HLA-DR항원은 17개의 검체중 14개에서 반응을 나타냈다.항 macrophage,항 CD4, 항 CD8등은 모든 검체에서 음성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저자들은 증식성 망막피막을 구성하는 세포성분으론 망막색소상피세포, 섬유아세포, 교세포등이 있음을 알았으나 대식세포와 림프구의 확인은 실패하였다. 또, HLA-DR항원이 대부분의 검체에서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증식성 망막피막의 형성에서 면역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았다(한안지 38:75~85, 1997).
We Performed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to identify the cellular components and involvement of immune mechanism in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which is a major cause of delayed filure of retinla surgery.The 17 specimens of periretinal membranes -including vitreal membranes- were surgically obtained during the pars plana vitrectomy. The clinical diagnoses were idiopathic or traumatic retinal detachment (9 eyes),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6 eyes), and pars plannitis (2 eyes). The labeled streptavidin-biotin immunoperoxidase method was used for immunohistochemical stain.
The following antigens were detected in periretinal membranes : cytokeratin in 8 (of 17 cases studied for this antigen),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in 9 (of 17), vimentin in 15 (of 17), HLA-DR in 14 (of 17). The macrophages and T lymphocyte expressing CD4 or CD8 markers, were not found in any of the membra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llular components of periretinal membranes are
consists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glial cells, and fibroblast. The identification of macrophage and T lymphocytes all met with failure. Also, strong positivity of HLA-DR antigen may indicate involvement of the immune mechanism during the course of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J Korean
Ophthalmol Soc 38:75~86, 1997).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