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이식후 거부반응에 대한 위험요소의 임상적 고찰
본 논문은 전층각막이식을 받은 환자 185안을 대상으로 이식편 거부반응의 성별, 연령별 분포와 고 위험군 또는 저 위험군별 분포, 수술후의 합병증 및 이식각막 크기별 이식편 거부반응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식편 거부반응은 각막이식을 받은 185안중 60안(32.4%)에서 발생하였으며, 저 위험군에서는 원추각막이 17안(62.9%)으로 가장 많았고, 고 위험군에서는 신생혈관성 각막반흔이 18안(54.5%)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 위험군에서의 이식편 거부반응이 33안(47.8%)으로 저 위험군 27안(23.3...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1996-07, Vol.37 (7), p.1095-1104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논문은 전층각막이식을 받은 환자 185안을 대상으로 이식편 거부반응의 성별, 연령별 분포와 고 위험군 또는 저 위험군별 분포, 수술후의 합병증 및 이식각막 크기별 이식편 거부반응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식편 거부반응은 각막이식을 받은 185안중 60안(32.4%)에서 발생하였으며, 저 위험군에서는 원추각막이 17안(62.9%)으로 가장 많았고, 고 위험군에서는 신생혈관성 각막반흔이 18안(54.5%)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 위험군에서의 이식편 거부반응이 33안(47.8%)으로 저 위험군 27안(23.3%)보다 이식편 거부반응이 더 많음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Relative risk=3.022 p=0.001). 수술전 신생혈관이 없을때의 거부반응은 33안(24.8%)이었고 신생혈관이 있을때는 27안(51.9%)에서 거부반응이 나타나서 신생혈관이 있을 때 거부반응이 높게 나타났다(Relative risk=3.273, p0.5). 기타 성별, 연령별 차이에서도 거부반응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술전시력은 평균 0.05이었고 술후시력은 평균 0.4였으며, 고 위험군(평균 교정시력=0.25)보다 저위험군(평균 교정시력=0.5)의 술후 교정시력이 높게 나타났다(한안지 37:1095∼1104, 1996).
Penetrating keratoplasty was performed on 185 eyes. We analyzed the relative risk about the high and low risk groups, sex, age, complication, neovascularization, and graft size. In 185 grafts, graft rejection was developed in 60 eyes(32.4%). In the low risk group, there was the most graft rejection in 17 keratoconus eyes(62.9%) and in the high risk group, in 18 eyes with vascularized corneal scar.
Graft rejection was developed in 33 eyes(47.8%) of the high risk group and developed in 27 eyes(23.3%) of the low risk group. The high risk group increased the risk of graft rejection(Relative risk=3.022, P value=0.001). Graft rejection developed in 33 eyes(25%) with non-vascularization and in 27 eyes(52%) with neovascularization. Neovascularization increased the risk of graft
rejection(Relative risk=3.273, P value0.5). Mean preoperative visual acuity was 0.048 and mean postoperative visual acuity was 0.4. In the high risk group the mean postoperative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25 and in the low risk group it was 0.5(J Korean Ophthalmol Soc 37:1095∼1104, 1996).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