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G 형광안저 촬영술에서 황반부 맥락막혈관의 분포양상
황반부에서 맥락막은 다른부위의 그것과 해부학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는 황반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될수 있자. 황반부에서 ICG형광안저촬영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저자들은 이들을 유출형태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리고 연령관련황반변성이 분류된 형태중에서 어떤 형태와 연관되어 호발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안은 황변질환을 가지지아니한 115안(93명)과 연령관련황반변성을 나타낸 안중 맥락막에서 신생혈관이 관찰된 31안(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황반부에서 맥락막정맥의 유출형태는 4형태 즉, 상이측유출형,...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1996-11, Vol.37 (11), p.1832-1837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황반부에서 맥락막은 다른부위의 그것과 해부학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는 황반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될수 있자. 황반부에서 ICG형광안저촬영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저자들은 이들을 유출형태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리고 연령관련황반변성이 분류된 형태중에서 어떤 형태와 연관되어 호발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안은 황변질환을 가지지아니한 115안(93명)과 연령관련황반변성을 나타낸 안중 맥락막에서 신생혈관이 관찰된 31안(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황반부에서 맥락막정맥의 유출형태는 4형태 즉, 상이측유출형, 하이측유출형,수평분수형,그리고 불규칙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형태중에서 수평분수형이 황반부를 침범하지 아니한 경우와 연령관련 황반변성 모두에게 가장 흔한 형태였다. 저자들은 연령관련황반변성과 유출형태 사이에 의미있는 관련을 발견할 수 없었다.(한안지 37:1832~1837, 1996)
The choroidal vascular structure in macula is anatomically different from that in other region. And choroidal venous drainage in macula represents various typ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the choroidal venous drainage in macula and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roidal venous drainage type and a disease involving macula, esp.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ARMD). The authors performed indocyanine green(ICG) angiography in 115 eyes(93 patients) without macular disease and in 31 eyes(24 patients) with ARMD, which were presented with choroidal new vessels. The choroidal venous drainage in macula was classified as 4 types. They were superotemporal
drainage, inferotemporal drainage, horizontal watershed, and irregular type. The most common type of choroidal venous drainage was horizontal wateshed type which was showed in 55 eyes (48%) without macular diease and 15 eyes (48%) with ARMD. Any relationship between a type of choroidal venous
drainage and ARMD was not found(J Korean Ophthalmol Soc 37:1832~1837,1996). |
---|---|
ISSN: | 0378-6471 |